KB증권, 헤알화 국채 온라인 매매 개시···"외화채권 매매 라인업 확대"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3-31 09:19:24
  • -
  • +
  • 인쇄
개인투자자, 환차익 및 이자소득 과세 면제
▲ KB증권 사옥 전경 [사진=KB증권 제공]

 

KB증권이 헤알화 표시 브라질 국채 온라인 매매를 개시하며 외화채권 온라인 매매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했다. KB증권 MTS인 ‘M-able(마블)’과 HTS인 ‘H-able(헤이블)’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내년 1월 만기 브라질 국채는 현재 연 12% 금리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헤알화 강세 시 환차익도 가능하다. 


KB증권(사장 박정림, 김성현)은 기존 미국 국채뿐만 아니라 헤알화 표시 브라질 국채도 온라인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상품 라인업을 강화해 외화채권 온라인 매매 서비스를 확대 개편했다고 31일 밝혔다.

헤알화 표시 브라질 국채는 ‘한국-브라질 조세협약’에 따라 비과세를 적용 받는 채권으로, 개인투자자의 경우 환차익 및 이자소득 등에 대한 과세가 면제되는 특징이 있다.

2023년 1월 만기 브라질 국채는 3월 31일 현재, 시장에서 약 연 12% 금리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헤알화 강세 시 환차익도 가능하다. 단, 환율 변동 및 중도 매도 시 금리 변동에 의한 손실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020년에 오픈한 KB증권 외화채권 온라인 매매 서비스는 평일 9시 30분 부터 오후 4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채권 금리 및 환율과 같은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투자자 스스로 매매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온라인으로 매매하면 상대적으로 매매 비용에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단, 매매 조건은 매일 바뀔 수 있으며, 주문 후 체결까지는 2영업일이 소요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민황 자산관리솔루션센터장은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브라질 국채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브라질 국채 온라인 매매 서비스를 개시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자산 배분에 대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B증권 외화채권 온라인 매매 서비스는 KB증권 MTS인 ‘M-able(마블)’과 HTS인 ‘H-able(헤이블)’에서 이용 가능하다. 미국 국채는 최소 100달러(원화 약 12만원 수준)이상, 헤알화 표시 브라질 국채는 1개 단위(원화 약 25만원 수준)의 소액 매매가 가능하다.

외화채권 투자는 채권 가격 하락 및 환손실로 인한 투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매매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가까운 KB증권 영업점 및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2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3

세화병원 이채식 박사, ASRM서 비침습적 배아 유전자 검사 신뢰도 연구 발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부산 세화병원 난임의학연구소 이채식 박사가 10월 28일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2025 미국생식의학회(ASRM,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Annual Congress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주제는 ‘Comparative Analysis of PGT-A and n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