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업무 협약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7 11:00:12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GS리테일이 해양생태보전에 대한 대국민 인식전환 캠페인 및 생태 보전 활동을 위한 업무 협약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GS리테일과 해양수산부는 12월 18일 역삼동에 위치한 GS타워에서, 곽창헌 GS리테일 대외협력부문장, 오행록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 등 관계 인사들이 참석해,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다.

 

▲ <사진=GS리테일>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를 비롯한 생물종 전반에 걸친 보전의 중요성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에 해양생태보전을 위한 협의 및 활동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업무 협약을 맺게 되었다.

 

GS리테일은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해 ‘바다거북이 지킴이’ 캠페인을 펼친다. 멸종위기 1등급인 바다거북을 보호하고, 해당 멸종위기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내년 1월말부터 전국 1만8000여개 GS25, GS더프레시 점포에서 생태 보전 메시지를 담은 ‘바다거북이’ 종이 쇼핑백을 출시하고, 거북이 사체에서 많이 발견되는 비닐, 노끈 등의 해양폐기물 감축을 위해 시민참여 ‘해양 정화 캠페인’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해양 NGO단체인 오션·팀부스터와 지난 11일 업무 협약을 진행해,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을 시민참여 프로그램으로 함께 전개한다. 바다거북이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과 함께, ‘시민참여 수중생태계 기후 감시’ 활동 등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제주 지역 대표 깃대종(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주요 동/식물)에 대한 관찰 활동을 통한 제주 해양의 생태계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국민의 생태계 관심 확산 등 생태계 보호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GS리테일은 전국 1만 8000여 점포에서 사용 후, 폐기해야 하는 전자제품을 E-순환거버넌스로 인계해 발생된 수익금을 해양 NGO단체에 기부함으로, 자원 순환을 통한 해당 생물 다양성 보전 활동으로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선순환 활동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올해 전달 예정인 기부금은 1억 4천여만원에 달하며, 12월 중 전달될 예정이다.

 

박경랑 GS리테일 정책지원팀 ESG 파트장은 “GS리테일은 지난 22년부터 해양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갯벌 정화 캠페인 등 ESG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며, “해양수산부, 해양NGO단체와 함께 바다거북이 지킴이, 해안 정화, 해양생태계의 기후변화 감시 활동 등을 진행해 전국민적으로 해양 생태계 보전 활동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