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클라우드, ‘아시아 에듀테크 컨퍼런스 2025’ 참여…"글로벌협력 기반 마련"

황성완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2 09:21:19
  • -
  • +
  • 인쇄
클라우드 기반 AI 인프라와 솔루션 동시 제공 통해 교육 디지털 전환(DX) 기여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엔에이치엔클라우드(이하 NHN클라우드)는 지난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에듀테크 컨퍼런스 2025(Asia EdTech Conference in Seoul 2025)’에 참여했다고 22일 밝혔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가 지난 19일 '아시아 에듀테크 컨퍼런스 2025'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NHN클라우드]

‘아시아 에듀테크 컨퍼런스’는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가 매년 주최하는 국내 최대 교육기술 전시회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의 부대 행사로, 아시아 각국의 교육 기관 및 기업의 전문가, 정부 관계자가 참가해 교육시장 현황과 추진 사업 및 기술 등을 공유하는 교류의 장이다.

 

NHN클라우드는 이번 행사를 교두보로 삼아 아시아 에듀테크 기업들과 전략적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아시아 에듀테크 서밋(AES)’ 회원국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참여했다. 컨퍼런스는 ‘아시아를 잇고, 교육을 강화하다’를 주제로 각국의 최신 에듀테크 사례 공유와 사업 전략, 글로벌 네트워킹 기회 등 다양한 세션으로 진행됐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개막식에서 “교육 산업 전반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현 시점에서,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기관과 기업에 AI 인프라와 솔루션을 동시에 제공해 교육 혁신을 만들어가는 동반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 세션에서 박형건 NHN클라우드 클라우드사업제안실 수석은 ‘에듀테크를 위한 NHN클라우드의 AI 인프라 전략’을 주제로 클라우드 기반의 에듀테크 산업 지원 전략과 아시아 교육 생태계와의 협력 방향을 공유했다.

 

NHN클라우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AES 의장사인 일본 최대 이러닝 기업 ‘NetLearning Holdings(회장 키시다 토오루, 이하 네트러닝)’와의 전략적 제휴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NHN 클라우드는 지난 7월 네트러닝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교육용 AI 클라우드 인프라 협력과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 기반을 구축한 바 있다.

 

NHN클라우드 관계자는 “이번 컨퍼런스 참여를 통해 에듀테크 산업 내 NHN클라우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AES 회원국과의 협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과 파트너십을 확대해 아시아 교육 디지털 전환(DX)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건국대병원, 전립선암 환자 대상 ‘플루빅토’ 치료 및 PSMA PET/CT 검사 도입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건국대병원 핵의학과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행성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최신 방사성의약품 ‘플루빅토(PLUVICTO®, lutetium Lu-177 vipivotide tetraxetan)’ 치료를 본격 시작했다.플루빅토 치료는 전립선암 세포 표면에 주로 발현되는 전립선특이막항원(PSMA, Prostate-Specific

2

두산건설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 ‘광폭주차면’으로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10년 새 대형차 등록 대수는 57%(242만 대) 급증했고 수입차 비중도 13.5%까지 확대됐다. 국민 두 명 중 한 명꼴로 차량을 보유하는 시대, 건설사들은 ‘주차 특화 설계’를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리얼하우스가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자료를 집계한 결과, 2025년 기준 대형차 등록 대수는 669만 대로 집계됐다.

3

MBK 파트너스, “롯데카드 보안 투자 확대…관리 소홀 아냐”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MBK 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주요 주주사로서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안을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MBK 파트너스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고객 피해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전사적 비상대응체계를 가동, 신속한 피해 차단과 불편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즉각적인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금융 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