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데라, 엔비디아 NIM 내장 'AI 인퍼런스' 출시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10-10 09:40:17
  • -
  • +
  • 인쇄
엔비디아 텐서코어 GPU로 최대 36배 더 빠른 성능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클라우데라(한국지사장 최승철)가 생성형 AI 개발과 배포를 가속하기 위해 엔비디아(NVIDIA)의 추론 마이크로서비스인 엔비디아 NIM로 구동되는 ‘클라우데라 AI 인퍼런스(Cloudera AI Inferenc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데라 AI 인퍼런스는 업계 최초로 NIM 기능을 제공하는 AI 추론 서비스 중 하나다. 대규모 AI 모델의 배포와 관리를 혁신적으로 간소화해 기업이 데이터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고, 생성형 AI를 파일럿 단계에서 완전 생산 단계로 완성할 수 있게 한다. 


딜로이트(Deloitte)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은 규제 리스크와 거버넌스 문제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올 3분기에 3분의 2 이상의 기업이 생성형 AI 예산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온프레미스나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안전하게 운영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직접 복잡한 접근 방식은 지양하고, 보안성과 확장성을 갖춘 솔루션이 필요하다.

클라우데라 AI 인퍼런스는 기업이 안전한 개발과 배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민감한 데이터가 비공개 영역을 벗어나 공급업체가 호스팅하는 AI 모델 서비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당 서비스는 엔비디아 기술을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해 신뢰할 수 있는 AI를 지원한다. 결과적으로 빠른 속도로 AI 챗봇, 가상 비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개발을 도와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신규 사업 성장에 기여한다.

개발자들은 엔비디아 텐서코어(Tensor Core) GPU를 사용해 최대 36배 더 빠른 성능과 CPU 대비 약 4배 더 높은 처리량으로 엔터프라이즈급 대형 언어 모델(LLM)을 구축, 맞춤화, 배포할 수 있다.

또한 UI, API가 엔비디아 NIM 컨테이너와 직접 통합돼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없어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다. 클라우데라 AI 모델 레지스트리와의 서비스 통합은 모델 엔드포인트와 운영에 대한 접근 제어를 관리해 보안과 거버넌스를 강화한다. 사용자는 LLM 배포나 기존 모델 전부를 하나의 서비스에서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카리 브리스키(Kari Briski)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 부사장은 “기업들은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위해 생성형 AI를 기존 데이터 인프라와 원활하게 통합해야 한다”며, “엔비디아 NIM을 클라우데라 AI 인퍼런스 플랫폼에 통합해 개발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립형 AI 데이터 플라이휠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