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해외서 무더기 제재···우리은행 최다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1-27 10:04:52
  • -
  • +
  • 인쇄
우리, 中·인니 각각 2건 등 6건…하나·국민도 각 1건
주로 보고오류 및 지연이 제재사유
해외진출 증가..내부통제 강화 숙제

 

▲ 금융감독원. [사진= 연합뉴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우리은행이 지난해 해외 진출한 시중은행 중 현지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들의 해외진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내부통제 강화도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의 해외 법인·지점이 현지에서 받은 제재 사례는 우리은행이 6건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이 각각 1건씩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보고 오류 및 지연 등으로 중국에서 2건을 받았고 인도네시아에서 2건, 러시아에서 1건, 인도에서 1건의 현지감독당국 제재를 받았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월 인도네시아 법인(우리소다라은행)이 현지 금융감독청(OJK)으로부터 정기 보고서 오류로 과태료 6000만 루피아(약 480만 원)를 통보받았다. 같은 해 3월에는 자본금 증자와 관련한 보고 지연으로 과태료 400만 루피아(약 32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지난해 4월 우리은행 중국법인에 국제 수지 보고 및 통계 보고에 오류가 있다며 경고와 함께 과태료 20만위안(3640만원)을 처분했다. 또, 베이징 은행보험감독국은 같은 해 6월 개인 경영성 대출 자금의 용도 확인 미흡 등으로 과태료 90만위안(1억6400만원)을 부과했다.

 

러시아우리은행도 지난해 7월 러시아중앙은행으로부터 외환 포지션 거래 위반 등으로 과태료 100만 루블(약 1800만 원), 우리은행 인도지역본부는 같은 해 9월 인도중앙은행으로부터 정기예금 예치 시 고시 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적용해 과태료 591만 루피(약 8900만 원)를 각각 부과받았다.

 

이밖에 하나은행 중국법인은 지난해 9월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광둥성 분국으로부터 외화지급보증 소홀로 과태료 1576만 위안(28억7000만 원)을 부과받았고, KB국민은행 호찌민지점은 5월 베트남 중앙은행으로부터 역외대출이자 해외 송금 시 금융당국 승인 여부 확인을 누락한 바실이 적발되 과태료 1억6000만 동(약 840만 원)을 부과 받았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국내 은행들의 해외 진출은 계속 확대되고 있는 상황인데, 해외 점포에 대한 통제가 너무 느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사모펀드 불완전판매나 내부 통제 부실 등으로 금융당국으로부터 각종 제재를 받은 바 있는 만큼 해외에서도 내부 통제가 미흡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국내은행의 해외 점포는 204개로 전년 말보다 7개 늘었다. 이들 해외 점포 중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지역이 141개로 전체의 70%에 육박한다.

 

해외진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관리해야 할 리스크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금융당국의 관리와 은행들의 자율적인 내부 통제 강화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2021년 해외 점포 당기순이익은 11억6500만달러로 1년새 4억4600만달러(62.1%) 급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애경산업 럽센트, 생화향 담은 ‘스크럽 바디워시’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애경산업은 바디케어 브랜드 ‘럽센트’(LUVSCENT)가 ‘스크럽 바디워시’(SCRUB BODY WASH) 4종을 새롭게 선보였다고 10일 밝혔다. 럽센트 스크럽 바디워시는 프랑스산 프리미엄 향료를 기반으로 글로벌 향료사와 공동 개발한 럽센트만의 시그니처 생화향을 담았다. 럽센트 스크럽 바디워시는 코코넛 껍질 가루 등 자연 유래 저

2

웅진컴퍼스, 영국 켄싱턴대학교와 MOU 체결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웅진씽크빅의 영어교육 전문 자회사 웅진컴퍼스가 영국 켄싱턴대학교(Kensington College of Business, KCB)와 글로벌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10일 밝혔다. 두 기관은 현지 체류형 영어캠프 기획·운영, 영국 문화권 내 공인 영어 시험 및 KCB 정규 학부 과정 등록금 우대 혜택 마련을 비롯

3

국내 'SiC 전력반도체' 기술 자립률 10%→20% 상향…기술 국산화·인재 양성 집중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정부가 현재 10% 수준인 국내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기술 자립률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이를 위해 'SiC 전력반도체 추진단'을 이달 중 구성하고, 서울대와 부산대 등 전국 8개 대학을 중심으로 특화된 인재 양성에 나선다.이런 계획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