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현장검사 조사중...업계 조사로 확대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채권 돌려막기' 의혹에 대해 금융당국이 하나증권과 KB증권을 조사중인 가운데 조사가 타 증권사로 확산될 예정이어서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하나증권과 KB증권을 대상으로 일임형 자산관리 상품인 채권형 랩어카운트와 특정금전신탁 운용 실태에 대해 수시검사중이다. 지난부터 검사를 진해애 오는 26일 마칠 것으로 예정돼 있는 하나증권 조사는 필요시 연장될 수도 있다. KB증권에 대해 금감원은 지난 23일부터 검사를 시작했다.
금감원은 두 증권사뿐 아니라 다른 증권사 간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불법 자전거래를 근절하기 위해 10여곳 이상으로 조사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 |
▲ 하나증권, KB증권 사옥 [사진=각사] |
금감원 검사는 작년 말 증권사의 랩어카운트와 특정금전신탁에서 장단기 자금 운용 불일치로 환매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 배경이 됐다. 일부 증권사가 단기 투자 상품인 랩어카운트와 신탁 상품으로 유치한 자금을 장기채에 투자해 운용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KB증권은 지난해 시중금리가 치솟으며 랩어카운트와 신탁으로 받은 법인 고객 자금으로 투자했던 장기채권 가격이 폭락하자 평가손실을 만회하려는 과정에서 900억원에 이르는 평가손실을 냈다. 그리고 이를 감추기 위해 하나증권에 있는 KB증권 신탁 계정을 이용해 자사 법인 고객 계좌에 있던 장기채를 평가손실 이전 장부가로 사들여 수익률을 높이는 불법적인 자전거래 의혹을 받고 있다. 아울러 만기가 도래했거나 중도 해지를 요청한 고객에게 새 고객에게 받은 자금을 내주는 돌려막기식 영업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앞서 KB증권측은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시중금리가 급등하고 CP(기업어음)시장 경색되어 11월말에서 12월초 중소형 법인 위주로 해당 거래를 통해 유동성을 지원했다. 이후 연말 회계 결산을 위한 회계법인과의 논의를 통해 CP를 장부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해 손실을 인식하게 됐다"며 세간의 의혹을 부인했다.
금감원 조사가 착수되자 KB증권 관계자는 만기 미스매칭 운용과 자전거래 등의 의혹에 대해 “현재 금감원 조사가 진행중이어서 당장 확인해 줄 수 있는 말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증권사들은 감독당국의 조사확대에 꽤 진장하는 분위기다. 그간 관행처럼 거래됐던 채권돌려막기가 조사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단기 채권형 상품을 원금 보장형처럼 판매했지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장단기 금리차를 이용한 '만기 불일치 운용 전략'을 썼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시장 금리가 급등하면서 장기채 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증권사별 평가손실은 수백억원에서 1000억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증권사들은 이런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자전거래'를 했다는 의혹 등도 받고 있다. 자전거래는 금융회사가 자사 펀드나 계정으로 매매하는 방식을 뜻한다.
증권사가 만기 미스매칭을 통해서 과도한 목표수익률을 제시하게 되면 자금시장경색과 대규모 계약해지 발생시 환매대응을 위해 연계거래 등 불법·편법적인 방법으로 편입자산을 처분할 수 있어, 법상 금지하고 있는 고유재산과 랩·신탁재산간 거래, 손실보전·이익보장 등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
채권 거래를 할 때 장부에 곧바로 기재하지 않고 일정 시간 보관(파킹)하도록 한 뒤 결제하는 방식을 썼는지도 중점 검사 대상이다. 거래 사실을 숨기고 있다가 금리가 내려 채권 가격이 오를 때 장부에 기록하면 실제보다 수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은 이를 불법 거래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검사 결과 확인된 위법 사항에 대해선 엄정 조치해 업계의 고질적인 관행을 근절하고 시장 질서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회사별 랩·신탁 수탁고·증가추이, 수익률 및 듀레이션 등 기초 자료 분석과 시장정보 등을 종합고려해 검사 대상회사를 선정하고 이달초부터 현장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2개사 외에도 검사대상으로 기선정된 회사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