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메뉴 3990원에 판매하는 에슐리 월드델리 370% 성장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장기간 경기 침체와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저가격·소포장’ 소비 트렌드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 연구소가 623만 건의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물가'와 관련된 키워드의 언급량이 2024년 1월 44만8124건에서 11월 86만2136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 |
▲ 고물가 영향에 균일가 매장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이랜드] |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지수와 비교한 결과,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4로 상승세는 둔화했으나, 물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완만한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한 점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지출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많다는 것이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의 분석이다.
일상적인 소비 상황에서 여전히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경향이 보였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저성장 상황 속에서 경제적 효율을 챙기는 소비 행동을 보이며 슬기롭게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포장과 저가격 제품을 선호하며, 대형마트의 푸드코트, 다이소와 같은 균일가 매장 등에서 가성비를 챙긴 소비자들이 증가했다.
소포장·저가격 트렌드의 확산은 국내 1인 가구 증가와 편의점 중심 상품 다각화와도 관련이 깊다. 소포장 및 소용량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최근 6개월간 관련 키워드가 59%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로 '가격', '간편', '가성비' 등이 도출됐다. 이런 트렌드는 소비자들이 가격 대비 만족도를 중요시하며, 필요한 만큼만 구매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최근 직장인들은 '런치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점심값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인해 외식 부담이 커지면서 대형마트의 냉동식품이나 푸드코트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뷔페 레스토랑에서 모임을 계획하는 등 외식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가성비 소비에 힘입어 전 메뉴를 3990원에 판매하는 애슐리 월드델리의 인기도 높다. 이곳에서는 초밥, 감태 롤, 시그니처 통살 치킨, 해산물 파에야, 떠먹는 망고, 티라미수 등 디저트까지 전 메뉴를 3990원으로 일원화했다.
애슐리 월드델리는 킴스클럽 강서점에 오픈 한 이후 하루 평균 4000여개 판매기록을 세우고 있다. 킴스클럽 전체 방문 고객의 40%가 신선식품 등 장보기를 하는 동시에 애슐리 델리에서 1개 이상의 메뉴를 구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애슐리 월드델리 오픈 이후 킴스클럽 강서점 전체 델리 매출 신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70% 성장했다. 델리 전체 판매 수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70%로 모두 세 자릿수 성장했다.
김은용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장은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들이 한국 경제의 저성장 고착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단순히 지출을 줄이는 대신 필요한 만큼만 경제적으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현명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