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 상승·강달러, 먹거리 물가 상승 요인 '여전'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2 12:54:35
  • -
  • +
  • 인쇄
세계식량가격지수 최고치 경신...내년 가격 또 오르나
코코아·커피 원두, 지구온난화에 생산량 감소 지속

[메가경제=정호 기자] 식품 원재료 가격상승과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2025년 식품·외식 가격 인상 요인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 제출한 자료에는 이 내용을 담았다. 외식산업에 물가 인상 압력이 커지고 있고 고환율로 인한 수입 재료 가격 상승은 결국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는 관측이다. 가공식품·외식물가 상승으로 귀결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셈이다.

 

▲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제품들.[사진=메가경제]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달 대비 127.5로 19일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수는 2014년부터 2016년 평균 가격을 100에 두고 비교해 나타낸다. 이 지수는 지난 2월 117.4까지 떨어졌지만 9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했다.

 

품목별로는 유지류, 코코아, 커피 등 원재료가 크게 올랐다. 유지류는 한달간 7.5% 상승했으며 주요 생산지인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 전망, 대두유의 수입 수요 증가 등이 이유로 꼽혔다. 해바라기·유채유 가격 또한 공급 감소 가능성이 제기돼 상승했다. 치즈, 버터를 비롯한 유제품 가격은 전달 대비 17.9% 치솟았다. 

 

코코아와 커피 원두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코코아 가격이 지난 19일 기준 톤(t) 당 1만2107달러(한화 1757만원)로 전달 대비 4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연초 대비 183.2% 폭등한 액수다. 로부스타 원두 또한 톤당 5046달러(한화 732만원)로 연초 대비 8.4%, 67.6% 증가했다. 

 

달러 강세도 주요 가격 인상의 요인으로 꼽힌다. 수입 식재료의 가격이 상승해 원가 압박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2년 당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식품·외식업계의 가격인상이 진행됐다. 

 

식품업계에서는 가격 인상이 이어지는 추세다. 동서식품은 지난달 15일 인스턴트 커피 믹스, 음료 등 출고 가격을 8.9% 인상했다. 오리온과 해태제과 또한 이번달 과자 가격을 평균 각각 10.6%, 8.6% 인상했다. 동아오츠카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용 증가로 2025년 1월 1일부로 포카리스웨트·데미소다 등 가격 제품을 100원 올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2 Safety, 해비타트와 함께한 4번째 해이홈 봉사… ‘안전의 가치’ 확산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산업안전브랜드 K2 Safety(케이투세이프티)가 ‘Team K2 Safety’의 네 번째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값진 땀방울을 통해 안전의 가치를 사회에 확산시켰다. K2 Safety는 자사의 봉사활동 캠페인 ‘Team K2 Safety’ 일환으로 지난 17일 천안시 ‘해비타트 빌더스 스쿨’에서 제4회 해이홈(HAEY HOME) 봉사

2

미래에셋생명, '글로벌 MVP 60 펀드' 누적 수익률 114.1% 기록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미래에셋생명의 대표 변액펀드 ‘글로벌 MVP 60’이 누적 수익률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래에셋생명 글로벌 MVP 60 펀드는 지난 15일 생명보헙협회 공시실 기준 114.1%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변액보험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형 보험 상품으로, 시장 흐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구조다. 미래에셋생명은 자산 대부분을 해외에

3

NS홈쇼핑, 임직원 참여형 사회공헌 프로그램 ‘NS Go!’ 첫 활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사회공헌 프로그램 ‘NS Go!’의 첫 활동으로 농번기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보태Go!’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지난 22일 인천 강화군 화도면 일대 강화남부농협 관내 농가에서 진행됐으며, NS홈쇼핑 임직원을 비롯해 농협경제지주 임직원, 시민 환경단체 및 대학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