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KB 어게인 바이 코리아' 종목 12개 선정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5 10:13:43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KB증권은 지난 12일 'KB전략, 바이코리아 귀환: 어게인 바이 코리아(Again BUY KOREA)' 제목의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저평가 대형 우량주의 가치 상승 전망을 기반으로 'KB 어게인 바이 코리아(KB Again BUY KOREA)' 관련 12개 종목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초 자본시장 선진화 대책 발표에서 주주환원을 늘린 기업에게 법인세 감면 혜택을 주는 내용을 담으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의 정책을 구체화한 바 있다. 이러한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은 주주환원율 확대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환율 안정 효과, 외국인 유입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진=KB증권]

 

이에 KB증권 리서치본부는 'KB전략, 바이코리아 귀환: Again BUY KOREA'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정부 정책의 수혜가 가능한 KB Again BUY KOREA 종목 12개를 선정하고 투자 가이드를 제공했다. 해당 종목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차, 현대모비스, 하나금융지주, 기아, 삼성물산, GS, KT, 삼성화재, 키움증권 등이다.

 

KB증권은 해당 보고서에서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큰 수익을 거둔 투자자들과 일본 주식시장의 상승 기회를 놓친 투자자들에게서 한국 증시 관심도가 커지고 있다고 관찰하고 특히 하반기에는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 추진이 가시화될 때마다 외국인의 매수 강도가 더욱 고조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세법과 상법 개정을 통한 주주친화 정책은 외국인의 한국 증시 참여 비중 확대와 더불어 1400만명으로 급증한 개인투자자 기반을 더욱 확대시키고 가계 자산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마지막으로 20년 이상 지속 추진되고 있는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처럼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도 장기 프로젝트로 설계돼 주식시장의 장기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현재는 정부 정책의 수혜가 기대되는 대형주 중심의 비중 확대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되며 기업의 변화에 발맞춰 투자자들의 동참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B전략, 바이코리아 귀환: Again BUY KOREA’ 리서치 보고서는 KB증권 홈페이지, KB증권 리서치 홈페이지 및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KB 마블(M-able)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HN 하락 vs 엔씨소프트 상승’...K-브랜드지수 게임 상장사 부문 순위 싸움 치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게임 상장사 부문 1위에 넷마블이 선정됐다고 19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진행

2

롯데홈쇼핑 '요즘쇼핑 유리네' 1주년 기념 쿠킹 클래스 마련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홈쇼핑이 배우 이유리의 ‘요즘쇼핑 유리네’ 론칭 1주년을 기념해 고객 초청 쿠킹클래스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9월 첫선을 보인 ‘요즘쇼핑 유리네’는 '무조건 유리하게'를 슬로건으로, 이유리가 직접 엄선한 식품, 리빙 상품을 최저가 수준의 가격과 특별한 혜택으로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행사는 론

3

'전현무계획2' 지현우 "결혼 생각? 에너지가 없어" 셀프 진단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2’ 전현무-곽튜브-유진-지현우가 맛있는 소고기와 무밥을 먹으며 결혼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밝힌다. 19일(오늘) 밤 9시 1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2’(MBN·채널S 공동 제작) 47회에서는 ‘먹브로’ 전현무-곽튜브(곽준빈)와 ‘먹친구’ 유진-지현우가 추억의 음식 ‘무밥’이 ‘킥’인 맛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