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주식모으기' 서비스 오픈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3 10:18:13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증권은 고객이 고른 주식이나 ETF(상장지수펀드)를 원하는 날마다 원하는 만큼 자동으로 모을 수 있는 '주식모으기'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23일 밝혔다.

 

고객이 사용하던 종합(01계좌), 외화은행연계(02계좌), 중개형ISA(14계좌), 연금저축(15계좌) 등을 통해 원하는 종목, 금액이나 수량, 매수 주기 규칙 등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매수 주문이 실행된다. 주식을 정기적으로 자동 적립하고 싶거나, 다양한 종목에 꾸준히 투자하고 싶은 고객, 원하는 타이밍에 자동 매수 하고 싶은 고객에게 유용하다.

 

▲[자료=삼성증권]

 

국내주식(ETF 포함)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10개 국가의 해외주식(ETF/ETN 포함) 모으기가 가능하며, 삼성증권 모바일 앱 엠팝(mPOP)이나 삼성증권 지점을 통해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삼성증권 주식모으기 서비스는 ▲적립할 종목 선택(1번에 하나의 종목만 선정 가능), ▲적립 규칙 정하기, ▲최종 확인 등의 단계를 통해서 간단하게 주식모으기 등록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나의 모으기 현황'에서 누적된 종목모으기 관련 상세 현황을 확인 할 수 있다.

 

여러건의 '주식 모으기'를 진행할 경우, '나의 모으기 현황' 메뉴를 통해 진행중인 모으기들을 애니메이션효과 등을 통해 재미있게 확인할 수 있고, 조회시점까지 모은 수량과 금액, 평균 매수 가격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유하기' 버튼을 통해 카카오톡으로 친구 및 지인에게 자랑하거나 주식모으기를 함께 시작하도록 추천 할 수 있고, '관리하기' 메뉴를 이용하면 모으기 규칙을 변경하거나, 쉬어가기도 가능하다.

 

'주식모으기' 서비스 오픈 이후 가장 인기있는 모으기 종목은 국내 주식은 삼성전자, 미국 S&P500 ETF이며, 해외 주식 중에는 엔비디아, 애플 등의 종목으로 전체 모으기 계좌 중 60% 이상이 중개형 ISA, 연금저축을 통해 주식/ETF모으기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요즘 가장 인기있는 모으기 주식' 랭킹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주식모으기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고, 디지털 적립식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의 투자 편의성 개선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주식모으기 서비스 외에도 해외주식 소수점 적립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