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은 건물용 수소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공동주택 단지 내 스마트팜에 공급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연료전지에 필요한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스마트팜 실험실에서 작물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 [사진=롯데건설 제공] |
국내 공동주택에서 활용되는 연료전지는 대부분 도시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얻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은 이렇게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전기·열 에너지를 공동주택의 스마트팜에 공급하는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스마트팜에 공급해 재배 속도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입주민들이 스마트팜에서 신선하고 깨끗한 작물을 직접 수확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도 추진 중이다.
롯데건설은 이 같은 기술 개발을 위해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에스퓨얼셀,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6개 기업 및 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컨소시엄은 산업통상자원부의 'CO₂ 포집 연계형 저탄소 건물용 개질기 기술 개발 및 실증' 과제를 수행 중이며, 실내 스마트팜 설계·시공은 스마트팜 전문기업 그린플러스와 공동 개발을 하고 있다.
![]() |
▲ 사진=롯데건설 제공 |
롯데건설은 올해 말까지 스마트팜에 대한 기술 특허 2건을 출원하고, 내년부터 스마트팜을 건물에 설치해 기술 모니터링을 수행할 계획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스마트팜에 공급하는 기술을 통해 탄소중립 시스템을 구현하겠다"며 "생활 밀착형 ESG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입주민들에게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