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기증관' 서울시 송현동 부지에 건립..10일 서울시·문체부 업무협약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11-10 10:56:44
  • -
  • +
  • 인쇄
19일 서울시·문체부 ‘(가칭)이건희 기증관’ 건립 위한 업무협약
송현동 부지 내 9787㎡ 규모로 조성…송현동 부지-국유지 교환 절차 착수
“광화문-송현동 일대 워싱턴DC 내셔널몰 같은 세계적 문화‧관광지구로 조성”

‘이건희 기증관’이 경복궁 옆 송현동 부지에 자리잡게 돼 ‘광화문-송현동’ 일대가 세계적인 문화·관광 지구로 거듭나는데 랜드마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시는 고(故) 이건희 회장 유족이 국가에 기증한 2만3천여 점의 문화재와 미술품을 보존‧전시‧연구하기 위한 ‘이건희 기증관’(가칭) 건립지로 종로구 송현동 부지(송현동 48-9번지 일대 9787㎡)가 확정됐다고 9일 밝혔다.

서울시와 ‘이건희 기증관’ 건립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런 내용을 최종 합의했다. 이와 관련해 오세훈 시장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0일 오전 11시25분 이건희 기증관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 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부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건희 기증관은 송현동 부지 내에 대지면적 9787㎡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송현동 부지 전체면적(37141㎡)의 26%정도를 차지한다.

문체부는 내년 하반기 국제설계공모절차에 들어가 설계‧공사를 거쳐 2027년 완공‧개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송현동 부지는 서울의 역사‧문화‧경제 중심지로서, 도보 20분 거리 내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 30여 개 박물관‧미술관과 60여 개 갤러리가 밀집해 있다. 또한 5대 고궁과 북촌한옥마을, 인사동 같은 문화‧관광 인프라가 풍부하게 갖춰진 곳이다.

서울시와 문체부는 ‘이건희 기증관’ 건립 부지로서 접근성, 주변 역사문화 자원과 연계성 등을 고려할 때 이곳이 최적의 장소라는 데 뜻을 모았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문체부는 기증관 건립부지 입지분석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했으며, ‘기증품 활용위원회’에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송현동 부지를 최종 건립부지로 심의‧의결했다.

서울시와 문체부는 이날 협약식을 계기로 기증관 건립을 위한 부지교환 절차에 착수한다. 현재 송현동 부지는 대한항공 소유로 내년 상반기 서울시로 이전될 예정이다. 이후 기증관 부지에 대해 국유지와 등가교환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이건희 기증관’ 건립이 대한민국의 문화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중대 프로젝트인 만큼, 긴밀하게 협력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소속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별도의 준비단을 구성해 기증관 건립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협의한다. 송현동 문화공원과 기증관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 결정, 통합설계공모 등 주요 절차에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 송현동 인근 주요 문화시설.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시민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경험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이건희 기증관 건립 부지 이외의 나머지 송현동 부지도 문화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여기서 머물지 않고 서울공예박물관, 세종문화회관 등 시립시설을 비롯해 광화문-송현동 일대 문화‧관광자원을 연계해 워싱턴DC의 내셔널몰(National Mall), 베를린의 박물관 섬(Museum Island) 같은 세계적인 문화‧관광 지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는 ‘(가칭)이건희 기증관’ 건립을 통해 문화‧관광 산업을 활성화해 서울을 세계 TOP5 문화‧관광도시로 도약시키는 한편, 세계인이 우리 문화의 정수를 느끼고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