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신성, '아침마당'서 신곡 '얼큰한 당신' 무대 '반응 폭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4 14:22:22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트로트 가수 신성이 KBS1 ‘아침마당’에서 신곡 ‘얼큰한 당신’ 무대를 선보였다.

 

▲'아침마당'에 출연한 가수 신성. [사진=KBS1]

신성이 14일 방송된 KBS1 ‘아침마당’의 월요일 코너 ‘명불허전’에 가수 박민수와 함께 출연, ‘환장의 호흡’을 선보여 웃음을 선사했다. 이날 ‘내 영혼의 단짝’ 특집으로 진행된 ‘아침마당’에서 박구윤X김용필, 홍지민X이도진과 함께 모습을 드러낸 신성은 자신을 “‘아침마당’이 낳은 스타, 충청도 예산이 낳은 아들”이라고 ‘셀프 홍보’하며 월요일 아침부터 ‘기세’를 폭발했다. 짝꿍으로 함께한 박민수에 대해서도 “‘예산의 아들’ 신성이 인정한 심성 좋고, 노래 실력 좋고, 넉살은 더 좋은 ‘서천의 아들’”이라 소개하며, 박민수와 ‘충청도 단짝 라인’을 결성해 시선을 사로잡았다.

 

더불어 신성은 “최근 화제의 신곡 ‘얼큰한 당신’을 발표해, ‘아침마당’이 낳은 스타로서 제일 먼저 시청자 여러분께 들려드리고 싶어서 이 자리에 나왔다”라며 ‘얼큰한 당신’ 무대를 선보였다. 신성의 ‘가습기 보이스’와 스윗한 안무가 돋보인 ‘얼큰한 당신’ 무대가 끝나자, “어엿하게 댄스 가수로 전향했다”라는 반응이 폭발했고, 이날의 특별 손님으로 함께한 국악인 남상일은 “노래가 너무 좋다. 가사와 딱 맞는 ‘얼큰한 짝’을 만나시길”이라는 덕담을 건네기도. 모두의 칭찬에 힘입어 신성은 “‘얼큰한 당신’으로 히트곡 가수가 되고 싶은 욕망이 있다. 많이 따라 불러주시면 얼큰하게 보답하겠다”라며 홍보에 박차를 가했다.

 

그런가 하면 이날 ‘내 영혼의 단짝’ 특집에 맞춰 짝꿍의 장단점을 이야기해주는 시간이 진행됐는데, 박민수는 신성의 장점에 대해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100명의 도전자가 모여 티저 영상을 찍는데, 신성 형님만 빛이 반짝반짝 나더라. 연예인 포스가 흘렀다”라고 전한 뒤, “얼굴만 잘생긴 게 아니라 이런 효자가 또 없다. 마음이 착하니까 저절로 빛이 났던 것 같다”라고 덧붙여 신성의 흐뭇한 미소를 자아냈다. 반면 ‘단점’에 관해서는 “아재 개그를 남발해 이제는 좀 버겁다”라면서, “말이 너무 많다”라고 ‘단짠 폭로’를 이어가 웃음을 자아냈다. 신성 또한 “민수가 ‘서천의 아들’이라고 입에 달고 살더니 서천 특산물이 뭐가 있는지도 잘 모른다”라고 받아치면서도, “힘들고 고단해도 버티면 꽃을 피운다. 앞으로도 같이 열심히 걸어 나가자”라는 진심을 드러내 특별한 감동을 선사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