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국회 고용 노동 계류법안, 규제강화가 규제완화의 7.6배"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2-23 11:03:14
  • -
  • +
  • 인쇄
환노위 계류 총 364개…규제강화 229개 vs. 규제완화 30개
규제강화는비용부담증가(38.4%),추가의무부과(31.0%),책임범위확대(8.8%) 순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국회에 계류된 고용·노동법안 중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이 완화하는 법안의 7.6배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1대 국회 개원 이후 지난 10일까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된 법안들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환노위 계류법안 총 530개 중 고용·노동 법안은 364개로 68.7%를 차지했다.

내용별로는 규제강화 법안이 229개(62.9%)로 가장 많았고, 기업 규제와 관련이 없는 중립 법안이 93개(25.6%), 규제 완화 법안은 30개(8.2%), 정부지원 12개(3.3%) 순이었다.
 

▲[도표=한경연 제공]

규제 강화 법안을 유형별로 분석해보면 ▲비용부담을 증가시키는 법안 88개(38.4%) ▲추가 의무 부과 71개(31.0%) ▲책임 범위 확대 20개(8.8%) ▲처벌 강화 17개(7.4% ▲사회적 압력 증대 17개(7.4%) 순으로 발의됐다.

비용부담을 추가하는 법안 내용으로는 ▲계속 근로기간이 1개월 이상인 근로자에 대한 퇴직급여제 의무화 ▲하청근로자 산재 발생 시 원청 보험료율 반영 ▲업무가 아닌 일로 인한 부상 또는 질병에 휴가 청구권 보장 등이 있었다.

추가의무를 부과하는 주요 법안으로는 ▲성별·고용 형태별 평균임금 공시 의무화 ▲남녀 간 임금 격차 조사 정기 공표 의무화 ▲인건비 산정기준 및 세부 내역 명시 의무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대상을 직장 밖 제3자로 확대 등이 있었다.

직접적 사용자가 아니어도 근로관계에서 실질적 지배력이 있는 자를 사용자로 인정하거나 상시 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도 근로기준법 보호 대상에 포함하는 법안 내용은 기업의 책임 범위를 확대한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실업자와 해고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하는 노조법 등이 통과해 기업부담이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라면서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한달 퇴직 급여’ 등 국회 계류된 고용·노동 규제강화 법안들이 입법될 경우 기업들의 경영애로는 더욱 가중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