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3분기 영업이익 701억 ‘깜짝 실적’…시장 전망치 50% 상회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5 11:19:30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이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고성장을 발판으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2025년 3분기 실적을 거뒀다.


5일 SK바이오팜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917억 원, 영업이익 70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4%, 262.4% 증가한 수치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464억 원)를 50% 이상 웃돌았다. 

 

▲ SK바이오팜이 3분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9% 급증한 1,722억 원을 기록,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 4,595억 원으로 이미 전년도 연간 실적을 넘어섰다. 회사 측은 “4분기에도 3분기 수준의 매출이 이어질 경우, 연간 가이던스 상단 달성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세노바메이트 매출이 급증하면서 고수익 구조가 강화됐고,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확대됐다. 회사는 “처방 수 증가와 마케팅 효율화로 영업 레버리지가 극대화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올해 들어 세노바메이트의 신규 처방(NBRx)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라인 오브 테라피(Line of Therapy)’ 캠페인 등 마케팅 전략 강화의 성과로 분석된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확대 및 연령층 확장을 통해 시장 외연 확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 9월 진행한 일차성 전신 강직-간대발작(PGTC) 적응증 임상 3상에서 긍정적 탑라인 결과를 확보했으며, 12월 미국뇌전증학회(AES)에서 세부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소아 연령 임상 환자 모집을 완료, 연내 현탁액 제형(Oral Suspension) 신약승인신청서(NDA) 제출도 계획 중이다.

또한, 한국(동아ST), 중국(이그니스 테라퓨틱스), 일본(오노약품) 등 아시아 3국으로의 세노바메이트 진출이 가시화되며 글로벌 확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동훈 사장은 “세노바메이트의 고성장세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RPT(방사성의약품) 등 차세대 신약 개발과 AI 기반 신약 발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SK바이오팜은 AI·디지털 치료 플랫폼 사업을 강화하며 글로벌 바이오텍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에 유로파마(Eurofarma)와 함께 AI 합작법인 ‘멘티스 케어(Mentis Care)’를 설립해, 웨어러블 기반 디지털 치료 솔루션 개발에 착수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승연 회장, 한화 선수단에 준우승 기념 오렌지색 아이폰으로 '찐사랑' 증명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한화이글스의 2025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축하하기 위해 선수단에게 팀 상징과 같은 '오랜지색'의 아이폰을 선물했다. 이 아이폰 17 프로는 선수단과 스태프 총 60명에게 전달됐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아이폰을 건네며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2

소노인터내셔널 비발디파크, ‘대한민국 안전대상’ 우수기업상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명소노그룹 소노인터내셔널이 제 24회 ‘대한민국 안전대상’에서 우수기업상(소방청장상)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대한민국 안전대상’은 소방청이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안전분야 시상으로, 안전한 기업문화 확산에 기여한 기업과 개인, 단체 등을 선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강원도 홍천 비발디파크의 안

3

에버엑스, 대웅인베스트먼트·네이버로부터 40억원 투자 유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에버엑스는 대웅인베스트먼트(대웅제약의 기업형 벤처캐피탈) 및 네이버로부터 40억원의 전략적 투자(SI)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제약과 IT 분야를 대표하는 두 기업이 함께 참여, 에버엑스는 기술·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확장에 필요한 시너지 기반을 확보함과 동시에, 누적 투자 유치액이 약 270억원에 이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