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여의도 63빌딩 한화생명 본사. [사진= 한화생명 제공] |
최근 콜옵션 미행사와 관련한 이슈들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한화생명은 내년 4월 만기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예정대로 이행할 계획이다. 또, 상환시점엔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되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화생명은 내년 4월 만기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이행 여부에 대해 16일 이같이 밝혔다.
내년 4월 만기인 한화생명의 해외 신종자본증권은 10억달러다.
콜옵션 이행 여부에 대해 한화생명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예정대로 콜옵션을 행사할 것임을 밝혔으며,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다"라며, 특히, "2018년 4월 조달한 해외 신종자본증권은 발행 당시 금융당국의 가이드에 따라, 국내에 유입되지 않고 모두 해외 외화자산으로 매칭되어 운용중이다"라고 밝혔다.
내년 1분기에 외화자산의 현금화를 통해 해당 신종자본증권의 상환 재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므로, 추가적 자금 확보의 필요성은 없으며, 외화자산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과도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한화생명은 2017년 4월 발행한 5000억원 규모의 국내 신종자본증권에 대해서도 올해 4월 조기 상환을 완료한 바 있다.
또, 올해 2월 해외 ESG후순위채권 7억 5000만달러, 올 6월 국내 후순위채권 4000억원의 자본조달을 선제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9월, 해외 신종자본증권 7억 5000만달러 발행 계획을 공시한 바 있으나, 굳이 높은 금리로 자본조달을 할 필요성이 없어 시장 여건을 감안해 발행하지 않았다.
한화생명은 "향후 추가적인 발행 여부와 시기, 규모 등은 지속적으로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결정할 계획이다"며, "현재 내년 차환 발행 없이 조기 상환을 가정해 보수적인 자산운용을 하고 있으므로, 내년 상환 시점에는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금리 상승 및 은행 등 고금리 자금수요 증가로 보험업권의 해약이 다소 증가하고 있으나, 한화생명은 통상 유지중인 유동성 자금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수준이라고 자신감을 표했다.
최근 일시납 저축 상품 판매 확대도 추진중으로 이는 5년 만기 상품으로 노출기간이 길지 않다.. 또한 시장 상황 고려시 신규 유입 자금을 이차 역마진 없이 투자 가능함에 따라 단기 자금 확보는 물론, 자산 증대를 통한 신규사업 확대도 염두에 둔 전략이다.
한화생명은 9월말 RBC비율이 159%인데, 연말 RBC비율은 금리 변동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 예측하기 어려우나, 변액보험 헤지 확대, 4분기 중 이익 확대 등을 통해, 올해 말 시점에는 RBC비율 170% 수준을 목표로 관리할 예정이다.
또한 신종자본증권 상환 시점인 2023년 4월에는 새로운 감독규정인 K-ICS 비율 기준으로 평가되므로로 RBC비율과는 무관하고, 내년 K-ICS비율은 K-ICS 계량영향평가 실시 기간 동안에는 대외 공개가 불가하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다만, 수익성 높은 보장성 중심의 월초 확대 등을 통한 가용자본 확대 및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 관리, 변액보험 헤지 확대 등을 통한 요구자본 축소 노력을 통해, 감독당국이 요구하는 수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으로 K-ICS 비율을 관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