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순복음교회 설립자 조용기 목사 별세...향년 86세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9-14 11:43:26
  • -
  • +
  • 인쇄
1958년 천막교회 세워...1993년 세계최대 교회 기네스북 등재
‘희망의 신학’·강한 리더십 배경...2008년 원로목사로 물러나

여의도순복음교회 설립자인 조용기 원로목사가 14일 별세했다. 향년 86세.

여의도순복음교회에 따르면 조 목사는 14일 오전 7시13분 서울대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지난해 7월 뇌출혈로 쓰러진 이후 지금까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왔으나 끝내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올해 2월에는 부인 고(故) 김성혜 전 한세대 총장이 먼저 세상을 떠났으며, 유족으로는 희준·민제·승제 세 아들이 있다.
 

▲ 여의도순복음교회 설립자인 조용기 목사가 14일 별세했다. 향년 86세. 사진은 2007년 10월 잠실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열린 기도대성회에서 설교하는 조용기 목사. [사진=연합뉴스]

빈소는 여의도순복음교회 대성전 1층 베다나홀에 마련됐으며, 조문은 15~17일 오전 7시~오후 10시에 가능하다.

장례예배(천국환송예배)는 18일 오전 8시 한국교회장으로 여의도순복음교회 대성전에서 치러지고, 하관예배는 18일 오전 10시 장지인 파주시 오산리최자실국제금식기도원 묘원에서 있을 예정이다.

1936년 경남 울산 울주군에서 태어난 조 목사는 고교 2학년 때 폐결핵으로 사망선고를 받고서 병상에서 누나 친구로부터 처음 복음을 접했다고 전해진다.

조 목사는 1956년 하나님의성회 순복음신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장모이자 목회 동역자인 고 최자실 목사를 만났다.

1958년 5월 18일 최자실 목사와 함께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서 여의도순복음교회 시초인 천막교회를 개척했다.

이후 여의도순복음교회는 1970∼80년대 소외된 이들을 보듬는 '희망의 신학'을 외치며 성장했다. 1993년에는 교인수 70만명을 넘어서며 세계최대의 교회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교회의 다양한 성장 요인들의 중심에는 언제나 카리스마 넘치는 조 목사의 리더십이 있었다고 교회 측은 전했다.

고인은 1988년 일간지 국민일보를 설립해 기독교 목소리를 사회에 전파했다.

조 목사는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하나님의성회 총재를 역임하면서 제3세계 선교에 박차를 기했다.

1999년에는 비정부기구(NGO)인 사단법인 선한사람들(현재 굿피플)을 세워 국내 및 해외에서 인권 환경 보건 및 아동복지 등의 증진에도 앞장섰다.

조 목사는 저술가로서도 ‘나는 이렇게 기도한다’ ‘4차원의 영적세계’ 등 다수의 저서도 남겼다.

고인은 사역 50년을 맞은 2008년 이영훈 목사를 담임목사로 임명하고 원로목사로 물러났다.

조 목사는 교계 안팎에서 주목받는 목회자로 반세기를 걸어왔으나 2017년 교회에 거액의 손해를 끼친 죄로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확정돼 물의를 빚기도 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