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인천 송도 ‘아메리칸타운 더샵’ 오피스텔 이달 분양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1-12 11:53:54
  • -
  • +
  • 인쇄
오피스텔 661실, 판매시설 147실 분양

포스코건설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송도 아메리칸타운 더샵’ 오피스텔과 판매시설을 이달 분양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재외동포와 외국인에게만 분양됐던 지난 아파트와 달리 오피스텔과 판매시설은 내국인에게 분양된다.
 

▲ 송도 아메리칸타운 더샵 투시도 [포스코건설 제공]

 

아메리칸타운 더샵은 인천 송도국제도시 송도동에 들어서는 단지로 지하 3층~지상 최고 70층, 3개 동, 아파트 498세대, 오피스텔 661실 등 총 1159세대 규모다.

이 가운데 분양 완료한 아파트 498세대를 제외한 오피스텔 661실과 판매시설 147실을 분양할 예정이다. 오피스텔은 ▲27㎡ 208세대 ▲42㎡ 82세대 ▲64㎡ 242세대 ▲82㎡ 129세대로 구성된다.

송도국제도시 7공구에 위치한 이 단지는 인근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 국내 굵직한 바이오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송도에 ‘K-바이오 랩허브’(26년 예정), SK바이오사이언스 본사 이전(25년 계획) 등이 발표되면서 대규모 바이오 연구 산업 클러스터로 확장될 전망이다.

단지 인근에는 연세대 국제캠퍼스를 비롯해 인천 글로벌 캠퍼스와 인하대 송도캠퍼스(예정) 등 캠퍼스타운이 형성되고 있다. 세브란스 병원(26년 예정), 연세사이언스파크(30년 예정) 등도 조성되고 있어 산학연병 첨단 클러스터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단지는 인천1호선 캠퍼스타운역과 약 3분 거리에 위치한다. 오는 2027년 완공 예정인 GTX B노선이 송도를 지날 예정으로 서울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랜드몰‧롯데몰 등 다수의 복합시설이 들어설 계획으로 송도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 트리플스트리트, 홈플러스 등 대규모 쇼핑 시설과 연계 상권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메리칸타운 더샵 오피스텔은 포스코건설의 특화된 평면 설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포스코건설의 ‘아이큐텍’을 적용해 조명‧난방‧가스‧환기 등을 자동제어 할 수 있다.

승강기 내부에는 UV-C LED 살균조명을 설치해 바이러스‧세균을 제거한다. 피트니스센터‧골프연습장 등 입주민 전용 커뮤니티시설도 제공된다.

판매시설의 경우 총 계약면적은 1만 5510㎡이며 지하층 없이 1층과 2층에 조성된다. 공동주택 498가구, 오피스텔 661실의 입주민 고정수요를 누릴 수 있다. 이에 더해 캠퍼스타운역 유동인구, 글로벌 캠퍼스 직장인과 학생 등 배후 수요를 품고 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