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자 7513명 "사흘째 7천명대"...사망 25명·위중증 418명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4 12:10:53
  • -
  • +
  • 인쇄
1월 3주째 오미크론 변이 총 4830명...누적 9860명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 50.3%...전국 우세종화 가속화
지역발생 수도권 4569명...비수도권 2590명·36.2%

검사 수가 감소하는 주말과 휴일 효과를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상쇄하면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7천 명대를 기록했다.

특히,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50%를 넘어서며 우세종화가 이뤄지고 있어 확산세는 더욱 가파르게 전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는 24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513명 발생하면서 누적 확진자 수는 총 74만1413명(해외유입 누적 2만375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2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지역별 확진자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7629명)보다 116명이 적지만 22일 발표부터 사흘 연속(7007명→7629명→7513명) 7천 명대를 유지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 규모는 역대 네 번째이고, 월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역대 최다 기록이다. 일일 역대 최다 확진자 기록은 작년 12월 15일의 7848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 17일(3857명)보다는 3656명이 많다. 일주일 사이에 2배 가까이 급증했다.

1월 3주(1.16~1.22.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일일 평균 5471명(국내발생 5160명)으로 1주 전의 3854명(국내발생 3529명) 대비 42.0%나 증가했다.

▲ 1월 3주째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인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1월 3주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총 4830명(해외유입 1935명, 국내감염 2895명)이었다. 이로써 22일 0시 기준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는 총 9860명(해외유입 4574명, 국내감염 5286명)이라고 방대본은 밝혔다.

이와 같이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1월 3주째에 50.3%까지 도달하며 우세종으로 잡았다.

▲ 오미크론이 우세한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개 지역에서는 이달 26일부터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밀접접촉자,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만 곧바로 받을 수 있다. 유증상자를 포함한 그 외 대상자는 선별진료소에서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를 한 뒤,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게 된다. 사진은 24일 광주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자가검사키트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광주=연합뉴스]

정부는 신규 확진자가 수일간 7천 명을 넘어서면 코로나19 방역체계를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한다고 이미 발표한 상태다. 이에 따라 오는 26일부터 먼저 우세 지역이 된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개 시도는 26일부터 시범적으로 오미크론 대응단계 가동에 들어간다.

오미크론 대응단계에 들어간 지역에서는 곧바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밀접접촉자,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으로 제한되고, 격리기간도 10일에서 7일로 줄어든다.

▲ 최근 1주간 검사 및 확진자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이날 신규 확진자 7513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국내 지역발생은 7159명, 해외유입은 354명이었다.

지역발생 확진자 7159명 중 수도권 발생자는 4569명으로 63.8%를, 비수도권 발생자는 2590명으로 36.2%를 각각 차지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함께 비수도권 발생자가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수도권 지역발생자는 서울 1679명, 경기 2442명, 인천 582명이었다. 비수도권 중에서는 대구가 463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287명), 광주(278명), 충남(240명), 경남(220명), 경북(213명) 등 5개 시도는 200명을 넘었다.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시도에서 모두 지역발생 확진자가 나왔다.

▲ 2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재원중 위중증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 2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추이.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3명이 줄면서 5일 연속 400명대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 수가 줄면서 전국 코로나19 중환자(중증) 병상 가동률은 19.7%로 직전일보다 0.2%포인트 더 떨어졌다. 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은 20.0%였다.

25명이 더 목숨을 잃으면서 누적 사망자는 6565명으로 늘었고, 누적 치명률은 0.89%다. 일일 사망자는 직전일 11명으로 지난해 11월 15일 이후 69일만에 10명대를 기록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20명대로 높아졌다.

▲ 2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전날 코로나19 검사 수는 16만1665명(의심신고 5만1101명, 임시선별검사소 11만564명)으로 직전일(17만7246명)보다 1만5581명이 적었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2차까지 기본접종을 마친 비율)은 24일 0시 기준 85.4%(누적 4380만3685명)다. 12세 이상은 93.0%, 18세 이상은 95.3%, 60세 이상은 95.2%다.

3차 접종은 전체 인구의 49.2%(누적 2524만5905명)가 완료했다. 18세 이상은 57.0%, 60세 이상은 84.7%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