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사주 의혹 쟁점 해소보다 혼선만 더 커져....유승민캠프 대변인직 사퇴
국민의힘 김웅 의원은 지난해 총선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의 측근 검사로부터 여권 인사에 대한 고발장을 넘겨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한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본건 고발장등을 받았는지는 기억나지 않고 이를 확인할 방법도 없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시 총선 공식 선거운동기간동안 선거운동에 집중하느라 저에게 제보되는 많은 자료에 대해 검토할 시간적 여유조차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 |
▲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지난해 총선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의 측근 검사로부터 여권 인사에 대한 고발장을 넘겨받았다는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
김 의원은 또한 “모 매체를 통해 보도된 해당 고발장은 제가 작성한 것이 아님을 명백히 밝힌다”며 “당시 대화는 보도된 고발장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가 최강욱 의원 관련 문제를 당내에서 최초로 제기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었고, 실제 보도된 본건 고발장은 저와 관련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모 매체의 기사에 나온 화면 캡처 자료에 의하면 제가 손모씨(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담당관)라는 사람으로부터 파일을 받아 당에 전달한 내용으로 나와 있다"며 "이 자료들이 사실이라면 정황상 제가 그 자료를 받아 당에 전달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조작 가능성을 제시하고 명의를 차용했다는 주장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재 저에게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기에, 진위 여부는 제보자의 휴대전화와 손모 검사의 PC 등을 기반으로 조사기관에서 철저히 조사해서 하루빨리 밝혀달라”며 “조사기관에서는 조속히 이 사태의 실체적 진실규명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 사실관계를 밝히기 위해 저도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 측에서도 보도된 자료의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 속에, 제가 어떠한 증거자료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저의 단순한 기억력에 의존한 추측성 발언을 한다면 더 큰 혼란을 빚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날 회견 관련 내용은 지난해 4월 8일 당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 고발장에 대한 해명의 성격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회견에서는 채널A 사건과 김건희 씨의 주가조작 의혹에 관한 명예훼손 혐의가 기재된 지난해 4월 3일자 고발장에 대해선 별도의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이날 기자회견 전까지만 해도 고발장 작성의 주체나 손준성 전 담당관의 개입 여부 등 핵심 쟁점들에 대한 의문이 어느정도는 해소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막상 회견에서는 “고발장을 받았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며 관련 내용에 대한 확인을 사실상 수사기관의 몫으로 넘긴 셈이어서 이 사안을 둘러싼 쟁점에 의문과 혼선만 가중한 형국이다.
한편, 이날 김 의원은 회견 말미에 “어찌됐든 불미스러운 일에 관여된 것에 책임을 지고 지금 현재 제가 맡고 있는 유승민 선거운동캠프 대변인직을 내려놓겠다”고도 밝혔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