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업노조, "현 제도 대비 명백한 복지 축소" 주장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 지부(이하 초기업노조)는 회사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진행 중인 선택적 복리후생 TF의 의료비 지원 제도 변경 논의에 강하게 반대하며, 논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 |
▲ 삼성그룹 초기업노조가 20일 사측과 교섭대표노조에 발송한 공문. [이미지=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 지부] |
초기업노조는 2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전영현 DS 부문장, 노태문 DX부문장 직무대행, 피플팀, 전삼노 등에 보낸 공문에서, 최근 TF 3차 회의록에 언급된 단체 실손보험 전환 논의는 복지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초기업노조는 "현재 시행 중인 의료비 지원 제도는 실손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재직자 및 그 가족(배우자·자녀)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의료비 혜택을 제공해, 사내 복지 항목 중에서도 즉각적이고 실효성 높은 제도"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회의록에서 논의된 실손보험 전환은 현행 제도보다 개선된 혜택을 제공하지 않으며, 오히려 복지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손보험 중복 가입이 불가능해 보험료 상당 금액(연 20만 원 포인트) 지원으로 대체될 경우 기존 제도 대비 실질 혜택이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또한 회의록에 언급된 ‘비급여 지원이 생겨 유불리가 공존한다’는 표현에 대해서도 "실손보험의 기본 특성을 복지혜택처럼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초기업노조는 의료비 제도 변경 논의의 중단과 TF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한 당사자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을 오는 23일까지 요청했다.
삼성과 교섭대표노조인 전삼노는 2025년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한 뒤인 지난 4월, 선택적 복리후생 제도 개선을 위한 TF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 TF는 격주로 총 6차례 회의를 거쳐 오는 6월 말까지 성과 도출을 목표로 한다. 의료비, 식대, 개인연금 등 복리후생 항목의 실효성 확보와 직원 선택권 확대가 주요 의제다.
초기업노조는 2024년 출범한 노조로, 삼성전자 DX노조, 삼성화재 리본노조, 삼성디스플레이 열린노조,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조 등 4개 노조가 연합해 결성됐다. 전삼노에 이어 삼성 내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노조이며, 약 2만 명의 조합원이 가입해 있다.
전삼노와 초기업노조는 그간 여러 차례 입장 차를 드러내왔다. 지난해 전삼노가 삼성전자 사상 첫 파업을 선언했을 당시 초기업노조는 “상급단체 가입을 위한 정치적 행보”라며 “삼성 직원들을 위한 실질적 교섭에 집중하라”고 비판했다.
초기업노조는 지난 3월 전삼노가 임단협을 진행할 당시에도 사측과의 이면합의 의혹을 제기하며, 삼성전자와 전삼노에 공정대표의무 위반 및 부당노동행위 관련 해명을 요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