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석호 기자] KT는 이메일 해킹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AI 지능형지속위협(APT)' 분석 기술에 기반한 보안 솔루션을 상용화했다고 11일 밝혔다.
![]() |
▲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 출입구 [사진=연합뉴스] |
AI APT 분석 기술을 도입한 이메일 보안 솔루션은 지능화와 자동화를 통해 사용자의 이메일을 정교하게 분석한 뒤 취약점을 파고드는 신종 APT 해킹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T는 AI 분석 플랫폼을 통해 연간 2억 건 이상 이메일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DB를 국내 환경에 최적화해 해외 보안 회사가 개발한 안티바이러스 솔루션보다 탐지 정확도가 최대 22% 높다.
또 APT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도록 하루 평균 10여 건의 신종 혹은 변종 APT 공격에 대한 위협 DB를 만든다.
이와 함께 KT의 이메일 보안 솔루션은 악성 파일의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해 악성 코드 탐지 속도가 기존보다 180배 빠르다.
이외에도 변종 실행파일·피싱 URL 등 탐지하기 까다로운 공격 포맷인 문서형(PDF·워드·한글) 악성 파일도 정밀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민혜병 KT 엔터프라이즈서비스DX본부장(상무)은 "KT AI 기술을 APT 솔루션뿐 아니라 향후 EDR(엔드포인트탐지대응), 네트워크 보안 장비, 클라우드 보안 등 다양한 국내 보안 솔루션에 접목해 국내 보안시장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