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온·오프 고루 활약...3년 만에 2분기 실적 흑자 전환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8-12 14:47:31
  • -
  • +
  • 인쇄
연결매출 13% 신장...영업익 550억 증가

이마트가 3년 만에 2분기 실적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21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76억원으로, 전년동기 474억원 적자였던 것에 비해 550억원 증가했다.

매출액은 5조864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13% 증가했다.

별도기준 총 매출액은 3조840억원, 영업이익 58억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9.6%, 208억원 증가했다.
 

▲사진 = 이마트 제공

 

실적 개선을 이끌었던 건 할인점. 신세계그룹은 “할인점 신장세 확대의 주 요인은 이마트의 그로서리 강화 전략”이라며 “이마트의 2분기 카테고리별 실적을 살펴보면 식품 매출이 15.7% 증가하며 전체 실적을 크게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할인점은 2020년 3분기부터 전년동기대비 실적개선이 가시화되며, 2020년 4분기 6.4%, 2021년 1분기 7.9%, 2021년 2분기 8.3% 등 신장폭이 확대돼 왔다.

트레이더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1% 증가한 8005억원, 영업이익은 61.2% 증가한 266억원을 기록하며 두 자릿 수 성장을 이어갔다.

전문점 사업은 63억원 흑자를 기록한 노브랜드를 필두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손실을 46억원 개선했다.

주요 연결 자회사들도 고른 성장을 보이며 연결 손익 개선에 기여했다.

SSG닷컴 총거래액(GMV)은 2분기 19%, 상반기 합산 17% 신장하며 2조580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익은 2분기 이커머스 경쟁 심화로 다소 감소했으나, 상반기 합산으로는 전년동기대비 38억원을 개선했다.

이마트24는 작년 3분기에 이어 분기 흑자를 재달성했다. 매출은 19% 성장한 4795억원, 영업이익은 60억원 늘어 8억원을 기록했다. 점포 수는 186곳이 늘어 5509곳이다.

신세계TV쇼핑은 매출 635억원, 영업이익 57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신세계푸드는 코로나19 영향이 완화되면서 매출은 전년비 8.2% 증가한 3324억원, 영업이익은 58억원 증가한 82억원을 기록했다.

이마트의 미국 법인인 PK리테일홀딩스는 전년비 70억원 증가한 10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이마트에브리데이, 신세계I&C 등이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마트 기존점 신장과 자회사들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연결 및 별도 2분기 실적이 3년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앞으로도 각 사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 = 이마트 제공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할로윈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자사가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VALHALLA SURVIVAL)’에서 할로윈 시즌을 맞아 ‘망령의 수확제 할로윈 이벤트 던전!’을 개방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던전은 11월 12일까지 진행되는 기간 한정 콘텐츠로, 이용자는 던전을 클리어하면 ‘호박 등불’을 획득할 수

2

"얼굴로 인증하세요"...신세계면세점, 토스와 업무협약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면세점이 면세 업계 최초로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Toss)’와 손잡고 디지털 결제 혁신과 데이터 기반 마케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신세계면세점은 10월 28일 서울 중구 신세계디에프 본사에서 고객 중심 디지털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석구 신세계디에프

3

코엑스, 식품 박람회 ‘2025 푸드위크 코리아’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엑스가 오는 11월 1일까지 하반기 최대 식품 종합 전시회인 ‘푸드위크 코리아(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Food Week Korea 2025)’를 삼성동 코엑스 A, B, C홀과 더플라츠(THE PLATZ)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20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42개국, 950개 사의 1,532부스가 참가하며 ‘FOOD RE: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