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수입산우유 거센 도전...유업계의 미래 카드는?

심영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4 15:43:38
  • -
  • +
  • 인쇄
단백질 식품 시장 규모, 2026년 8000억원 수준 전망
헬스플레져 등 인기 및 우유 대체 제품으로도 기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유업계가 저출산과 내년에 시행되는 수입 유제품 관세 철폐 등을 타개하기 위해 단백질 음료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 규모는 2018년 890억원에서 2026년 8000억원으로 10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근력단백질 '셀렉스 프로틴 락토프리 Plus' [사진=매일뉴트리션]

 

매일유업은 지난 2018년 10월 성인영양식 브랜드 '셀렉스'를 론칭한 후 2021년 10월에는 '셀렉스' 사업 집중을 위해 매일유업에서 분사해 매일헬스뉴트리션 법인을 설립했다. 

 

출시 첫해 25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2020년 500억원, 2021년에는 900억원대로 성장했다. 지난 2021년 10월 매일유업은 셀렉스 사업부를 분사해 독립법인 매일헬스뉴트리션을 설립했다. 매일유업에 따르면 ‘셀렉스’는 누적 매출 5000억원을 돌파했다.

 

셀렉스는 고객 맞춤형 평생 건강관리를 지향하는 브랜드를 콘셉트로, 전 연령대의 생애주기에 맞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데이터앤리서치가 작년 한 해 동안 국내 주요 단백질 음료 브랜드의 온라인 정보량을 분석한 결과, 셀렉스가 총 3만6343건을 기록해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또한 RTD 단백질 음료인 '셀렉스 프로핏'은 국내 마켓 데이터 플랫폼 기업 마켓링크 POS 데이터 판매액 점유율 기준 올해 2월 편의점 단백질 음료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 [사진=일동후디스]
일동후디스는 2020년 '하이뮨'을 출시하며 단백질 식품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출시 첫 해 매출 300억원, 2021년 1050억원에서 2022년 165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해의 경우 10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하이뮨은 2024년 8월 브랜드 누적 매출 5000억 원을 돌파해 6000억 원 달성을 앞두고 있다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통계'에 따르면, 일동후디스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단백질 제품 부문과 프락토올리고당 제품 부문에서 생산실적 1위를 차지했다.

 

일동후디스는 이같은 실적에 대표 제품인 '하이뮨 프로틴 밸런스'가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해당 제품은 단백질과 함께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프락토올리고당(식이섬유의 일종)을 함께 표시하는 복합 기능성 제품이다.

 

글로벌 리서치기관 NIQ 코리아의 '단백질 보충제 시장 조사'(PCV 기준)에 따르면, 일동후디스는 2023년 5월부터 2025년 4월까지 2년 연속 판매액 1위를 기록했다. 전국 오프라인 식품 소매점 기준 점유율은 36%대다.

 

▲ [사진-남양유업]

·

남양유업은 2022년 단백질 음료 브랜드 '테이크핏'을 론칭했다. 출시 이후 꾸준히 리뉴얼을 통해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 현재 테이크핏은 △테이크핏 맥스 △테이크핏 프로 △테이크핏 아쿠아 △테이크핏 몬스터 등 총 9종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서울우유는 2023년 10월 단백질 RTD 음료 ‘프로틴에너지’ 2종을 선보였다. 지난해 8월에는 프로틴에너지를 리뉴얼 출시했다. 서울우유에 따르면 추출시  5개월 만에 누적 판매 200만 개를 돌파하기도 했다.

 

유업계 관계자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단백질 음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면서  "올해도 고함량 단백질, 저당, 저칼로리 등 영양 성분이 제품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단백질이 당뇨병 환자와 노인들의 영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소화의 측면에서 우유가 맞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 단백질 음료가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