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 재단, 위믹스 플레이 새 결제 서비스 ‘위믹스 페이’ 공개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6 15:31:03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위믹스 재단이 새로운 서비스 ‘위믹스 페이(WEMIX Pay)’를 16일 공개했다. 위믹스 페이는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에서 제공 중인 콘텐츠를 가상 화폐 위믹스(WEMIX)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올 하반기 론칭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위믹스 페이는 게임의 성장이 위믹스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위믹스 페이가 많이 사용될수록 이용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커지고, 위믹스의 쓰임새와 수요, 가치도 함께 늘어난다. 프라임 포인트(Prime Points)와 플레이 토큰(PLAY Token)이 위믹스 페이의 핵심 혜택이다.

 

▲ <사진=위메이드>

 

프라임 포인트는 개인이 위믹스 플레이에서 지출할 때 마다 쌓인다. 누적된 포인트는 VIP 패스, NFT, 신작 게임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는 얼리 액세스(Early Access) 기회 등 다양한 혜택으로 교환할 수 있다.

 

플레이 토큰은 미르4(MIR4), 나이트 크로우(NIGHT CROWS) 등 실제 게임에서 위믹스 페이를 통해 발생한 매출과 연동해 발행된다. 발행된 플레이 토큰은 위믹스 플레이에서 제공 중인 여러 게임 토큰을 합성해 만든 유틸리티 토큰 리플렉트(REFLECT)와 교환하거나, 하반기 출시할 위믹스 플레이 속 새로운 게임 커뮤니티 참여로 얻을 수 있다. 게임 별 특별한 혜택이나 독점 콘텐츠를 이용할 때 필요하다.

 

위믹스 재단은 블록체인 게임과 위믹스 페이의 성장이 위믹스 가치 상승과 생태계 확장으로 다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위믹스 페이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등 수익 중 최소 4~5%는 위믹스를 사들이는 데 사용한다.

 

또한 위믹스 플레이는 보다 혁신적이고 매력적인 블록체인 게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채로운 신작을 계속해서 선보일 예정이다. 자체 개발 게임 레전드 오브 이미르(Legend of YMIR)와 프로젝트 M(Project M), 가칭, 외부 게임 메타 토이 드래곤즈 사가(Meta Toy DragonZ SAGA)와 크리스탈즈 오브 나라문즈(Crystals of Naramunz) 등이 순차적으로 온보딩된다.

 

색다른 모습으로 변신도 준비 중이다. 위믹스 플레이는 게이머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으로 재탄생한다. 올 하반기 중 베타 서비스를 통해 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웨이, ‘히티브 온풍 공기청정기’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웨이가 깨끗한 공기에 따뜻한 온풍을 더한 ‘히티브 온풍 공기청정기’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코웨이 히티브 온풍 공기청정기는 고효율 세라믹 발열체를 탑재해 실내 공간을 신속하게 데워준다. 즉각적인 발열이 가능해 실내 온도를 약 5도(℃) 높이는 데에 단 4분 가량 소요된다. 희망 온도는 16도부터 35도까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

2

아모레퍼시픽, 7년 연속 CES 혁신상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모레퍼시픽은 자사가 개발한 스킨사이트(Skinsight) 기술이 CES 2026 뷰티테크 분야 혁신상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아모레퍼시픽은 이번까지 7년 연속으로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다.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과 공동 연구해 개발한 Skinsight는, 피부 노

3

관광 산업 회복세에 활짝...글래드호텔, 3분기 분기 사상 최대 실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로나 팬데믹 이후 침체됐던 관광 산업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며 호텔 업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883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외국인 관광객은 올 한 해 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인 2000만명 돌파가 예상된다. 올해 방한 중국인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