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디딤CPI+펀드 출시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5 15:43:45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글로벌 자산분배 전략을 활용하는 '한국투자디딤CPI+펀드(채권혼합-재간접형)'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투자디딤CPI+펀드'는 글로벌 분산 투자를 통해 물가상승률을 초과하는 투자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200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23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약 2.5%에 달했다. 은퇴 이후의 실질 구매력 확보를 위해서는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투자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펀드는 주식, 채권 등 전통적 자산과 더불어 물가상승률과 관련이 높은 금, 원자재, 부동산, 인프라 등 대체 자산에 분산 투자해 장기적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 이상의 투자 성과 추구를 목표로 한다.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디딤CPI+펀드'는 기존 운용 중인 펀드에 재간접형태로 투자하는 새로운 펀드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모펀드인 한국투자MySuper수익/인컴추구펀드는 '퇴직연금 선진국'이라 평가받는 호주의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상품(MySuper)을 벤치마킹한 전략으로 운용 중이다.

 

지난 23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국투자디딤CPI+펀드와 동일한 모펀드를 편입하고 있는 '한국투자MySuper알아서성장형자펀드(혼합-재간접형)'는 최근 6개월 수익률은 9.87%, 최근 1년 수익률 27.50%로 디폴트옵션에 편입된 펀드 가운데 두 기간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운용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 '한국투자디딤CPI+펀드'는 모펀드인 한국투자MySuper수익추구펀드에는 0~50% 수준으로, 한국투자MySuper인컴추구펀드에는 50~100% 수준으로 투자한다.

 

또한 지난 달 31일 기준 금융투자협회 공시에서 확인 가능한 자산배분형 펀드 25개의 평균 총보수 0.671%(퇴직연금 온라인 클래스 기준)에 비해 '한국투자디딤CPI+펀드'의 총보수는 0.425%로 낮은 수준이다.

 

디딤펀드는 원금보장형 상품 위주로 운용되는 퇴직연금 자산의 수익률 개선을 목표로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장기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퇴직연금 전용 펀드를 뜻한다. 금융투자협회 주도로 자산배분 연금투자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추진된 방안으로, 25개 운용사에서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한국투자디딤CPI+펀드'는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현대차증권, 삼성화재를 통해 가입할 수 있다.

 

강성수 한국투자신탁운용 솔루션담당은 "원금보장형 상품으로만 연금 자산을 운용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물가상승률을 헷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는 수익을 추구하고자 '한국투자디딤CPI+펀드'를 출시했다"며 "퇴직연금 계좌에서 100% 한도로 투자가 가능하며, 저보수라는 장점과 함께 효과적인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장기 투자 시 물가상승률을 초과하는 성과를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