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철 산행, ‘하산길’이 더 위험... 체중 분산·보폭 조절이 부상 예방 핵심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4 17:02:09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가을 단풍철을 맞아 산을 찾는 등산객이 늘면서 실족·조난 등 안전사고와 함께 산행 후 허리나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리막길에서의 부상 위험이 오르막보다 훨씬 높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내리막길 보행 시 무릎 관절에는 평지의 약 3~4배에 달하는 하중이 실린다. 이때 연골 표면에 압력이 집중되고, 무릎 주변 인대나 근육의 지지력이 떨어지면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악화될 수 있다. 이미 연골이 얇아진 중장년층은 산행 후 무릎이 붓거나 열감이 느껴질 경우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 단풍철 산행길. 

허리 부상 위험도 높다. 하산 시 허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로 내려오면 추간판(디스크)에 압력이 증가해 요추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엉치부터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이나 저림,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 근육통으로 넘기지 말아야 한다. 하산 시에는 허리를 곧게 세우고 보폭을 줄여 천천히 내려오는 것만으로도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인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허재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산행 시 올라갈 때보다 내려올 때 보폭을 줄이고 무게 중심을 낮추는 것이 부상 예방의 핵심”이라며 “하산 시 등산 스틱을 활용하면 체중이 팔로 분산돼 무릎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산행 후 통증이 생겼다면 초기 48시간 이내에는 냉찜질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것이 좋다. 이후 통증이 완화되면 허벅지 앞뒤 근육과 엉덩이 근육을 중심으로 스트레칭을 시행해 관절 부담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허리 통증의 경우 과도한 허리 젖히기(과신전) 스트레칭은 피하고, 무릎·골반 유연성 회복 운동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증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차 심해진다면 단순 근육통이 아닌 관절·척추 질환일 가능성이 있어,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앞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조치에 이은 추가적인 고객 보호 대책으로, 통신서비스 전반의 신뢰 회

2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3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