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 전년 동기 대비 3조 성장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7-07 17:21:07
  • -
  • +
  • 인쇄
모바일쇼핑 비중이 전체 온라인 쇼핑의 4분의 3 차지
음식서비스, 음‧식료품 분야 거래액 급등
가전‧전자‧통신기기는 대형화, 고급화 추세

지난해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의 장기화로 국내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이 5월 기준으로 1년 새 3조 원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모바일을 통한 쇼핑의 비중도 4분의 3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쇼핑 업종 중에선 음식이나 식재료를 배달시키는 소비자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도 확인됐다.

 

▲ 5월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이 전년 동월 대비 3조 3110억 원 증가했다. [통계청 제공]

 

지난 6일 통계청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5월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총 16조 596억 원으로 3조 3110억 원이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달 거래액의 26%에 달하는 큰 금액이다.

5월 온라인쇼핑 전체 거래량 중 모바일을 통한 쇼핑의 비중은 4분의 3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1조 원을 넘기며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70% 이상을 차지한 것이다.

이는 핀테크 서비스의 다양화로 모바일 결제가 더욱 편리해져 모바일쇼핑 거래량이 성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 5월 국내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의 비중이 71.2%를 차지했다. [통계청 제공]

 

전년 동월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에서 가장 많이 성장한 업종은 음식서비스, 음‧식료품, 가전‧전자‧통신기기 분야 순이었다.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1년 전에 비해 62.2%에 달하는 8210억 원이 증가했고 음‧식료품은 38.1% 성장해 5630억 원이 더 거래됐다. 가전‧전자‧통신기기 분야 온라인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19.7% 오른 3048억 원이 증가했다.

음식서비스 거래액의 급증은 코로나19 대유행의 장기화로 요식업에서도 비대면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음식 서비스의 다양화와 가정 간편식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이 주된 원인”이라며 “새벽배송 서비스의 확대도 주효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전‧전자‧통신기기의 온라인 거래량 증가는 집 안에서 벌어지는 경제생활인 ‘홈코노미’유행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길어지자 재택근무가 보편화되고 비대면 여가문화가 정착했다. 이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이전보다 많아진 소비자들이 IT기기 및 가전제품의 고급화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업계는 풀이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전기기 온라인거래액 증가에 대해 “가전제품의 대형화와 고급화 추세로 생활가전과 주방가전의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