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 전문가들의 67%는 8월 기준금리가 동결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 기대심리는 상승했다. 이에따라 9월 채권시장 심리는 악화됐다.
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9월 채권시장지표(BMSI)’를 발표했다.
8월11일부터 17일간 채권업계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종합 BMSI는 87.3(전월 97.4)으로 전월대비 하락했다.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며 9월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 |
▲ 2021년 9월 채권시장 지표 (BMSI : Bond Market Survey Index) [자료=금융투자협회] |
기준금리 BMSI는 67.0(직전 89.0)로 직전 조사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응답자의 67.0%(직전 89.0%)는 8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33.0%(직전 11.0%)는 인상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는 오는 26일 결정된다. 코로나19 재확산과 경기 회복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주요국 금리 상승 기대감으로 한국은행의 8월 기준금리 인상 기대심리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전망 BMSI는 72.0(전월 93.0)으로 시장금리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美 Fed의 조기 긴축정책 우려가 채권시장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여 9월 국내 채권시장 금리전망은 금리 상승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2.0%(전월 21.0%)가 금리상승에 응답해 전월대비 11.0%p 상승했고,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4.0%(전월 14.0%)로 전월대비 10.0%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BMSI는 77.0(전월 86.0)으로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소폭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4개월 연속 2%를 상회하는 가운데, 생산자물가지수도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추가적인 물가상승이 예상되어 9월 물가상승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7.0%(전월 20.0%)가 물가상승에 응답하여 전월대비 7.0%p 상승하였고, 물가보합 응답자 비율은 69.0%(전월 74.0%)로 전월대비 5.0%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BMSI는 84.0(전월 80.0)으로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투협 관계자는 "외국인의 주식 매도세 지속 및 美 노동시장 개선에 따른 테이퍼링 경계감 등으로 환율 상승이 예상되고 있으나,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업체들의 보유달러 매도 물량 출현 및 당국 구두개입 등 하락 요인도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응답자의 66.0%(전월 72.0%)가 환율보합에 응답해 전월대비 6.0%p 하락하였고, 환율하락 응답자 비율은 9.0%(전월 4.0%)로 전월대비 5.0%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