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SKT DID 컨소시엄은 지난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주관하는 ‘2021년 블록체인 DID 집중사업’을 수주한 후 질병관리청과 협의 및 개발과정을 거쳐 DID(탈중앙화 신원증명) 기반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 |
▲ SK텔레콤, 블록체인 기술 기반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 제공 |
DID 컨소시엄에는 SKT 비롯해 라온화이트햇, 아이콘루프, 코인플러그 등 업체들이 참여했다.
SKT는 8일부터 자사 '이니셜(initial)' 앱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보가 포함된 예방접종 정보를 발급·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QR코드를 통한 인증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로써 백신 접종을 완료한 고객은 가입 통신사에 관계없이 이니셜 앱만 설치하면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 조회가 바로 가능하다.
서비스 이용자는 QR코드 생성 과정에서 인증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 제출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특정 기업 서버가 아닌 사용자 스마트폰의 보안 영역에만 보관된다.
SKT는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번 서비스를 활용할 예정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해당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어르신이 본인 단말로 ‘일자리 자격증명’과 ‘코로나19 예방 접종 정보’를 발급·저장하고 출퇴근 시 두 가지 정보를 QR 코드로 제출하는 방식이다.
또 SKT는 연내 이니셜을 활용한 무인매장 출입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오세현 SKT 디지털 에셋 CO(컴퍼니) 담당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 서비스를 통해 단계적으로 일상이 회복되기를 바란다"며 "이를 통해 소상공인들의 경제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는 등 DID 기술이 사회 전반의 ESG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