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1차접종 총 1476만8365명 "1500만명 눈앞"...전국민 대비 접종률 28.8%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6-19 23:42:52
  • -
  • +
  • 인쇄
접종완료 총 401만2571명...접종률 7.8%
얀센센 우선접종대상자 중 접종률 96.3%

코로나19 백신 1차 신규 접종자가 50만명을 넘으면서 1회 이상 백신을 맞은 사람이 1500만명대를 눈앞에 뒀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9일 0시 기준으로 50만7319명이 새롭게 1차 접종을 받아 누적 1476만836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국민 대비 1차 접종률은 28.8%를 기록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출처=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또, 접종 완료자는 전날 하루 12만6036명이 늘어 누적 401만2571명이 됐다. 아스트라제네카(AZ)와 화이자 백신의 경우는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이 접종 완료자이고,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끝나는 얀센 백신의 경우는 1차 접종자가 곧 접종 완료자로 집계된다.

전국민 대비 접종 완료율은 7.8%를 기록했다.

▲ 백신별 접종 현황. [출처=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1차 접종자를 백신별로 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신규 44만2415명에 누적 1018만4938명이고, 화이자는 신규 3만4827명에 누적 348만5176명이다.

접종 완료자를 백신별로 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신규 2만404명에 누적 82만2848명이고, 화이자는 신규 7만5555명에 누적 209만1472명이다.

1회 접종으로 접종이 끝나는 얀센은 신규 3만77명에 누적 109만8251명이다.

▲ 접종대상별 현황. [출처=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접종대상자 1270만3394명 중 1차 접종률은 80.2%, 접종 완료율은 6.5%이고, 화이자 백신의 경우는 접종대상자 426만2412명 중 1차 접종률은 81.8%, 접종 완료율은 49.1%이다.

얀센은 우선접종대상자 114만147명 중 96.3%의 접종률을 보였다.

주요 대상별 1차 접종률을 보면 요양병원(81.4%)·요양시설(84.2%)·병원급 이상 의료인력 (91.8%) 등 ‘보건소 및 자체’의 접종률은 89.0%, 75세 이상(83.3%)·노인시설(93.4%)·코로나 치료병원(97.2%) 등 ‘접종센터’의 접종률은 80.6%를 보였다.

또, 장애인 돌봄종사자등(83.0%)·70~74세(80.9%)·65~69세(79.0%)·60~64세(73.8%)·예비군 민방위등(95.5%) 등 ‘위탁의료기관’의 접종률은 80.8%를 보였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샤오미코리아, ‘Xiaomi 스토어’ 2, 3호점 동시 오픈 임박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오는 서울 주요 거점인 구의역과 마곡역에 공식 오프라인 매장인 ‘Xiaomi 스토어’ 2·3호점을 동시 오픈하다고 18일 밝혔다. 1호점 ‘Xiaomi 스토어 IFC몰 서울 여의도점’ 런칭에 이어 오는 27일 추가 오픈하는 ‘Xiaomi 스토어 NC이스트폴 구의점()’과 ‘Xiao

2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 '2025 도로 위 히어로즈' 시상식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이 ‘2025 도로 위 히어로즈’ 시상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시상식에서는 사회와 이웃을 위해 헌신한 택시, 버스, 대리운전 등 모빌리티 산업 종사자 12인이 ‘도로 위 히어로즈’로 선정됐다. ‘도로 위 히어로즈’는 택시, 버스, 대리운전, 배송 및 배달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

3

하이트진로, 추석 맞아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하이트진로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가치소비 트렌드에 맞춘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선물세트는 355ml 캔 8개와 전용잔(425ml) 1개로 구성해 명절 선물의 품격을 더했다. 최근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소비 패턴이 강화되면서 유기농, 무첨가 등 프리미엄 먹거리를 찾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