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김학의 불법 출금' 차규근 영장 기각..."구속 필요성 불인정"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6 04:59:30
  • -
  • +
  • 인쇄
속도 내던 검찰 수사 제동...검찰수사심의위 개최 여부 희망적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혀온 차규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의 구속영장이 6일 법원에서 기각됐다.


수원지법 오대석 영장전담판사는 5일 차 본부장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자정을 넘겨 "구속의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영장을 기각했다.

오 판사는 "엄격한 적법절차 준수의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사안이 가볍지 않지만, 수사 과정에서 수집된 증거자료, 피의자가 수사에 임한 태도 등에 비춰 증거인멸의 우려나 도주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차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이 5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출석을 위해 수원지법 청사로 들어서기 전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수원= 연합뉴스]

차 본부장에 대한 법원의 구속영장이 기각됨에 따라 그간 속도를 내던 검찰의 김학의 불법 출금 사건 수사에 제동이 걸렸다.

다만, 법원의 영장 기각 사유가 범죄 혐의에 다툼의 여지가 있다는 취지는 아니다. 그런 만큼 영장을 재청구하기보다 수사를 마무리하고 차 본부장을 재판에 넘기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에 대해 불법적으로 출국금지 조처를 한 혐의를 받는 차 본부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직무유기 등 혐의를 받고 있다.

공익신고서에 따르면 차 본부장은 법무부 출입국심사과 공무원들을 통해 2019년 3월 19일 오전부터 같은 달 22일 오후까지 177차례에 걸쳐 김 전 차관의 이름, 생년월일, 출입국 규제 정보 등이 포함된 개인정보 조회 내용을 보고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차 본부장은 또 이규원 당시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 검사가 김 전 차관에 대해 불법적으로 긴급 출금 조처한 사정을 알면서도 하루 뒤인 23일 오전 출금 요청을 승인한 혐의도 받는다.

 

검찰은 지난달 3차례에 걸쳐 차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뒤 혐의가 입증됐다고 보고, 지난 2일 전격적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구속영장 기각으로 차 본부장이 소집 신청을 한 검찰수사심의위원회 개최 여부 논의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검찰수사심의위는 국민적 의혹이 제기된 사건 등의 수사 과정을 심의하고 결과의 적법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도이다. 각계 전문가 150명 중 무작위 추첨으로 선정된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우리은행, ‘청년 금융교육’ 지방 확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우리은행이 청년들을 위한 금융교육을 지방으로 본격 확대한다.우리은행은 지난 17일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 재학생 100여 명을 대상으로 대표 금융교육 프로그램인 ‘청년 WON MORE 금융닥터’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청년 WON MORE 금융닥터’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을 위한 우리은행의 맞춤형 금융교육 프로그램이

2

신세계그룹·알리바바 손잡은 'JV', 공정위 승인...글로벌 상생 플랫폼 탄생
[메가경제=정호 기자]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 인터내셔널(이하 알리바바)이 손잡고 만든 조인트벤처(JV)가 기업 결합 승인을 받고 공식 출범한다. JV의 핵심 자회사인 G마켓은 알리바바의 전 세계 유통망을 활용한 셀러들의 글로벌 진출을 올해 안에 시작할 계획이다. 18일 공정위 발표에 따르면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의 합작 JV는, 양사의 고객정보 및 데이터 관

3

오스템임플란트, 인재육성 성과 인정… Best HRD 4연속 획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오스템임플란트(대표 김해성)가 16일 서울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2025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Best HRD) 인증 수여식’에서 인증서를 받았다. 이번 수상으로 회사는 2016년부터 네 차례 연속 인증을 이어가게 됐다.‘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은 고용노동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4개 정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