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기 쉬운 라벨이 대세, 내친 김에 패키지 리뉴얼까지...파스퇴르 우유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8-04 07:08:43
  • -
  • +
  • 인쇄
본드 접착 없애고 절취선 추가해 분리배출 편리

재활용 분리배출에 편리하도록 라벨을 떼기 쉽게 만드는 것은 요즈음 소비의 대세.

롯데푸드(대표이사 이진성) 파스퇴르도 국내 최초의 저온살균 파스퇴르 우유 패키지를 리뉴얼해 출시한다.

라벨에 절취선을 추가해 기존 본드 접착 방식보다 분리배출 편의성을 강화한 것.

분리한 라벨은 비닐로, 우유병은 플라스틱으로 분리수거하면 된다.
 

▲파스퇴르 우유의 변천사 (사진 = 롯데푸드 제공)

 

아울러 디자인 면적을 확대하며 제품 정보 확인이 한층 용이해졌다. 병 상단에 63℃ 저온살균 엠블럼을 추가해 파스퇴르 우유의 핵심 특징을 강조했다.

병목 위쪽이 넓어지는 V자형 패키지는 중세 유럽 귀족의 빳빳하게 세운 깃에서 모티프를 따왔다. 프리미엄을 고집하는 파스퇴르의 당당한 자부심과 고급스러움을 표현한 것이란 게 롯데푸드의 설명.

또 넓고 둥근 우유병을 잡고 따르기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용기 상단을 한 손에 잡히게 개선했다.

원터치 캡으로 뚜껑 편의성도 높였다. 기존엔 뚜껑을 열고 이너실링을 제거해야 돼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뚜껑의 밀폐력도 높아져 제품 안전성도 강화했다.

패키지 리뉴얼과 함께 제품 라인도 후레쉬, 저지방, 유산균으로 변경했다.

저지방 우유와 차별점이 약했던 무지방 우유는 단종하고, LB-9을 넣은 유산균 우유를 추가했다. 이는 롯데중앙연구소와 공동개발한 특허 받은 김치 유래 식물성 유산균이다.

파스퇴르는 지난 1987년 국내 최초 저온살균우유를 출시하며 유업계와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생우유에 들어있는 효소나 유익균 등은 그대로 살리고, 결핵균과 같은 유해균만 죽이는 장점이 있다.

또 초고온살균에 비해 칼슘과 단백질 등 영양소 열변성 및 비타민 손실을 최소화한다.

하지만 63℃의 살균 온도를 30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초고온 살균보다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

또, 원유 품질이 나쁘거나 세균 수가 많으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파스퇴르는 1987년 당시부터 지금까지 현재 법적 기준 1급 A우유인 ml당 세균 수 3만마리 이하보다 3.7배 깐깐한 ml당 세균 수 8000마리 이하의 엄격한 기준으로 원유를 관리하고 있다.

파스퇴르 관계자는 “패키지 디자인을 리뉴얼 하면서 세련미와 편의성, 친환경을 담도록 했다”며 “디자인은 바뀌어도 파스퇴르 저온살균우유의 건강함과 품질에 대한 깐깐함은 변함없이 그대로 담았다”고 말했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