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환자 5년 새 25% 급증…심장 두근거림, 뇌졸중·급사 위험 신호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5 08:20:38
  • -
  • +
  • 인쇄
경희대병원 “겨울철 불규칙한 맥박, 단순 피로 아닌 심장 이상 의심해야”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단순한 두근거림으로 넘기기 쉽지만, 방치 시 뇌졸중이나 급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부정맥 진단 환자 수는 2020년 40만 명 수준에서 2024년 50만1,493명으로 5년 만에 약 25% 증가했다.
 

▲ 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이영신 교수

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이영신 교수는 “겨울철은 심장을 특히 긴장시키는 계절”이라며 “추위에 혈관이 수축하면 혈압이 오르고 심장이 더 강하게, 더 자주 뛰게 돼 부정맥이 발생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그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가슴 두근거림이 지속된다면 단순 피로나 스트레스로 넘기지 말고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정맥은 유전, 노화, 스트레스, 과음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 대부분의 부정맥은 경미하지만, ‘심방세동’이나 ‘심실빈맥’ 등은 뇌졸중과 급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심방세동은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을 5배 높인다.

이 교수는 “심방세동 환자 10명 중 3명은 증상을 느끼지 못해 조기 진단이 어렵다”며 “술을 마신 다음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경우 숙취로 오인해 지나치지 말고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방세동은 24시간 심전도(홀터)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고혈압·당뇨병·연령 등을 고려해 항응고제 치료로 뇌졸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워치, 혈압계 등을 통한 자가 맥박 측정도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된다.

이 교수는 “65세 이상은 주기적인 자가 맥박 체크를, 75세 이상은 증상이 없어도 연 1회 이상 심전도 검사를 권한다”며 “증상이 짧게 나타나는 경우엔 일상 중 연속 측정이 가능한 패치형 심전도 검사가 진단율을 높인다”고 덧붙였다.

부정맥 예방을 위해 ▲과로·과음·흡연 자제 ▲카페인 섭취 제한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 생활을 강조했다. 특히 이 교수는 “술은 한 잔만으로도 부정맥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음주는 최소화하는 것이 심장 건강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승연 한화 회장, 수능 앞둔 임직원 자녀에 합격 기원 선물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그룹 임직원 자녀들에게 합격 기원 다가 세트와 격려 편지를 보냈다. 김 회장은 21년째 매년 같은 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만 명의 임직원 가족이 선물을 받아왔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서울 플라자호텔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특별 주문 제

2

블록체인 금융기업 그루핀, 제도권 연계 ‘Stablecoin-as-a-Service’ 구조 발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기업 그루핀(Gurufin)이 규제 친화형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기술 페이퍼를 5일 공개했다. 그루핀은 은행 또는 공인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 주체가 되고, 자사 특허 기술을 통해 토큰화·결제·정산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as-a-Service)’ 모델을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3

한컴,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5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보상 재원 확보를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변성준, 김연수 각자대표 체제에서 2022년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2023년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3개년 배당 정책 발표에 이은 주주 친화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