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소개] 신도시의 탄생과 성장, 50년 역사 엮어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8-09 08:34:31
  • -
  • +
  • 인쇄
경기지역 신도시 건설 공과와 명암, 희비

1960년대 후반 이후 경기도에 건설된 주요 신도시의 탄생 과정과 진화 양상을 종합하며 내막과 사연을 살핀 책이 나왔다.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강헌) 경기학센터는 경기그레이트 북스 『도시의 두 얼굴 - 경기도 신도시의 탄생과 성장』을 발간했다.

정치권력과 개발자본이 결속해 주도한 신도시 건설사업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짚었다. 신도시가 들어선 곳에서 오래 전부터 살아온 주민들이 느닷없는 개발 바람에 어떻게 대처했으며, 신도시에 살게 된 주민은 어떻게 낯선 이주지를 정착지로 만들어나갔는지 돌아본다.
 

▲사진 = 경기문화재단 제공

 

책은 경기지역 신도시 건설에서 세상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비화(祕話)와 누군가 감수해야 했던 비화(悲話)에 초점을 맞췄다.

그렇다고 신도시 개발의 성과를 폄하하지 않고, 지난 시기 오판과 실책을 되짚어 더 나은 미래 도시공간 창출을 위한 지침을 찾는 데 의미를 뒀다.

저자 조윤민은 20년 동안 방송 다큐멘터리 작가로 활동하다 역사 저술작업에 뛰어들었다.

경기문화재단은 최근까지 '광주대단지 사건'으로 불린 ‘8.10 성남 민권운동’ 50주년을 맞아 이 책을 기획하고 발간했다.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원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분량 544쪽.

목차
1장 한국 신도시의 한 원형을 찾아서 – 성남지역 신도시의 유산
2장 누가 왜 광주대단지를 조성했나?
3장 광주대단지가 성남으로 간 까닭은?
4장 산과 골에 짓는 도시 - 서울시의 무리한 이주정책
5장 성남시민 1세대, 그들은 광주대단지에서 어떻게 살았나?
6장 부동산투기장이 된 광주대단지
7장 1971년 8월 10일, 그날의 진실은 무엇인가? - ‘8.10 성남 민권운동’의 실상
8장 이주정착지에서 성남시로 - 광주대단지의 향방
9장 누가 왜 수도권 신도시를 조성했나? - 분당 신도시의 탄생
10장 중산층 신도시 만들기
11장 다시 중산층 신도시를 조성하라 - 판교 신도시의 탄생
12장 그들만의 개발이익 - 토건개발족과 개발주의
13장 재산권과 생존권을 보장하라 - 토건개발족과 저항자
14장 떠난 자와 남은 자 - 신도시 원주민 생존기
15장 신도시 이주원주민의 탄생과 진화 - 수도권 신도시에 남겨진 과제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3Q 매출 1601억 기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601억원, 영업손실 19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PG,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토대로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한 5129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9월 말 신작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사전 마케팅 비용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감

2

에이에스이티-포엠일렉트로옵틱, 이차전지용 부품 베트남 수출 '업무협약'
[메가경제=정호 기자]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고체전해질막 전문기업 에이에스이티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다. 에이에스이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포엠일렉트로옵틱 비나(4M Electro Optics Vina)와 전고체전해질막 제품의 현지 진출 및 전동화 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

3

NH농협은행, '올원×페이스페이' 경품 이벤트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30일까지 NH올원뱅크에서 '올원뱅크+토스 페이스페이=?'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올원×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실물카드나 휴대폰 없이도 얼굴 인식만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로 가입하고 결제 수단을 NH농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