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글로벌 클린에너지 투자 ETF 국내 첫 상장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10-22 09:08:43
  • -
  • +
  • 인쇄
상장규모 약 80억, 상장 첫날 약 5억원 수준 거래

탄소중립이라는 메가트렌드에 가장 필요한 투자상품인 KBSTAR 글로벌클린에너지S&P ETF가 상장됐다. 전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감축 과정에서 수혜가 예상되는 클린에너지 산업에 관심이 높아진 상황으로 시장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KB자산운용(대표 이현승)은 지난 21일 국내 최초로 클린에너지에 투자하는 ETF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 KB자산운용(대표 이현승)이 지난 21일 국내 최초로 클린에너지에 투자하는 ETF를 상장했다 [사진=KB자산운용 제공]


KBSTAR 글로벌클린에너지S&P ETF는 탄소중립이라는 메가트렌드에 가장 필요한 투자상품으로, 상장규모는 약 80억 수준이며 상장 첫날 약 5억원 수준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번에 상장된 KBSTAR 글로벌클린에너지S&P ETF는 미국에 상장된 ESG 투자상품 중 가장 대표상품인 iShares Global Clean Energy (설정규모 7조 5597억원, 10월 20일 기준)와 동일한 기초지수인 S&P Global Clean Energy 지수를 추종하는 ETF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덴마크, 스페인)의 글로벌 친환경 기업뿐 아니라 한화솔루션, 두산퓨얼셀, 씨에스윈드 등 국내 친환경 관련 기업도 담고 있다.

KB자산운용 ETF전략실 금정섭 실장은 “클린에너지 ETF는 이미 국내투자자에게 친숙한 상품으로, 미국 상장 ETF 중 투자금액 상위 12위에 해당된다.”며, “금번 상장된 KBSTAR 글로벌클린에너지S&P ETF를 통해 국내 거래소에서 환전 없이 간편하게 매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클린에너지는 탄소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가 공통개념 요소로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해양에너지, 태양광, 지열 등과 그린모빌리티인 수소&연료전지 그리고 그린산업인 탄소 포집 및 활용의 친환경 산업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 후 파리협약에서 공식 탈퇴하였지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복귀하게 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감축 과정에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클린에너지 산업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글로벌 연기금 및 자산운용사는 투자자산 평가 시 탄소배출량 등의 기준을 반영하고 있고, 직접 탄소배출과 관련된 기업이 아닌 빅테크 기업들도 태양광, 풍력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 장기 구매 계약을 늘리는 점도 클린에너지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모습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