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 日국제협력기구와 태국서 기후변화 협력 등 양자 회담 가져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6-10 09:17:30
  • -
  • +
  • 인쇄
EDCF–JICA,9일 태국 방콕에서 양자회담 개최
글로벌 기후변화대응, 개도국 민간부문 지원 개발원조 협력 방안 논의

수출입은행이 일본 국제협력기구와 글로벌 기후변화대응 및 개도국 민간부문 지원을 위한 개발원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아시아 4개국 원조기관 회의’ 참석을 계기로, 우리나라 ODA 차관 시행기관인 한국수출입은행과 JICA 간에 3년만에 이뤄졌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가 지난 9일 태국 방콕에서 글로벌 개발이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양자 회담을 실시했다.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가 9일 태국 방콕에서 글로벌 개발이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양자회담을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메구미 무토 JICA 수석본부장, 이상호 수은 경협총괄 담당 부행장 [사진=한국수출입은행 제공]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은 1987년 우리 정부가 설립한 對개도국 경제원조기금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이 기획재정부장관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용·관리 중이다. 장기 저리의 차관자금을 제공해 개발도상국의 산업발전 및 경제안정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와의 경제교류 증진을 도모한다.

일본 국제협력기구(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는 1974년 설립된 일본 외무성 산하기관으로 유상차관, 무상자금, 기술협력 등을 통한 개도국 공적개발원조 업무를 담당한다.

아시아 4개국 원조기관 회의는  2010년 시작된 한국·일본·중국·태국의 원조실행기관간 연례회의체로, 금년 태국 방콕에서 개최(6월 8일~9일)되어 ‘메콩강 유역 공급망 확충을 위한 기관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두 기관은 팬데믹 등으로 중단되었던 협력 채널을 재개하고, 최근의 글로벌 개발이슈에 대한 협력 의지를 공고히 했다.

특히 △글로벌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개도국 협력사업 발굴 △개도국 자생력 확충을 위한 민간부문 지원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기후변화대응은 팬데믹 이후 우리 정부의 핵심 개발협력분야다. 이에 발맞추어 EDCF 위탁수행기관인 수은도 향후 EDCF 지원준비단계에서 기후위험을 반드시 분석하도록 사업체계를 개편 중이다.

이상호 수은 경협총괄 담당 부행장은 이날 회담에서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선 개도국 민간부문 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기후변화대응은 글로벌 공조가 필수조건이므로 이번 양자회담을 계기로 기후협력 사례가 많이 발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구미 무토 일본 국제협력기구 수석본부장은 “개도국 민간분야 지원은 국제개발협력사회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새로운 주제인 만큼, 원조기관간 노하우 공유와 협업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