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ESG 투자·수출·해외진출지원 1000억 펀드 조성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7-11 10:25:57
  • -
  • +
  • 인쇄
수은이 1000억원 출자···최종적인 펀드 규모는 5000억원 이상 목표
수은 수익 일부 운용사에 인센티브 지급···신시장 개척 적극 투자 유도
▲ 수출입은행 사옥 전경 [사진=수출입은행 제공]

 

한국수출입은행(수은)이 'ESG 투자'와 '중소중견기업 수출·해외진출'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최종적인 펀드 규모는 5000억원 이상이 목표다. 수은 수익 일부를 운용사에 인센티브로 지급해 신시장 개척에 적극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수은은 올해 상반기 1000억원 핵심전략산업 출자사업에 이어, 우리 기업의 ESG 분야 투자 활성화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해외투자 등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펀드조성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고 밝혔다.

수은은 작년 6월 ‘ESG 여신 프로그램’을 신설해 ESG 분야에 16조 80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지난해 중소·중견기업에 역대 최대 규모인 31조 4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 바 있다.

ESG 여신 프로그램(지속가능성장 촉진 프로그램 등 10개)은 수은이 자체 선정한 환경 또는 사회적 가치 창출 품목(ESG 품목, 145개)과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장·에너지전환 촉진, 수출초기기업 성장 등을 지원하기 위해 우대조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출자사업을 계기로 수은은 대출에 더해 미래 신산업 장기·위험분야에 대한 민간주도 투자 활성화를 유도해 시장보완자 역할과 함께 신정부 초기 국정과제에 부응할 방침이다.

최종적인 펀드 규모는 5000억원 이상을 목표로 한다.

 

수은은 운용사의 ‘ESG’ 및 ‘중소중견기업 해외진출’ 분야 투자제안액에 따라 출자금액을 차등 배분해 민간투자자금 유입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특히 펀드가 투자한 기업의 생산제품이 정부의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는 경우 수은에 귀속되는 수익 일부를 운용사에 인센티브로 지급할 방침이다. 조성될 펀드가 해외 신시장 개척에 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수은 관계자는 “ESG 경영확산과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친환경·新유망산업 진출, 저탄소 전환 등 우리 기업의 지속가능성장을 지원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신시장 선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번 펀드 조성에 나섰다”고 말했다.

수은의 출자사업은 11일 홈페이지에 공고될 예정으로, 운용사 선정 후 기획재정부 장관의 승인 절차를 거쳐 올해 안으로 펀드 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은은 지난해 ESG 여신 지원금액 16조 8000억원을 포함해 2030년까지 총 180조원을 제공해 우리 기업의 체질 개선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