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스 발주 건설현장 사망 사고, 발주처 책임론 대두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1-17 12:20:01
  • -
  • +
  • 인쇄
중대재해법 적용 불공정,경찰 SK가스 조사
“공사 주도적 관여”여부, 핵심 쟁점으로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근론자의 목숨을 앗아간 또 다른 산업재해. 이번에도 발주처의 책임은 묻혀야 하는가?”


최근 발주처의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 처벌 범위를 놓고 갑론을박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SK가스가 발주한 현장에서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주목받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주로 시공사에게 적용되고 있지만, 발주처의 안전 관리 소홀도 사고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 SK가스 성남 판교 본사. [사진=SK가스]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스케이(SK)가스가 발주한 울산시 남구 황성동의 가수 배관 건설현장에서 청소 작업을 하던 30대 노동자 A씨가 세척 장비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고가 난 현장은 공사금 53억원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다.

시공사는 경동이앤에스다. 경찰과 노동부는 SK가스와 경동이앤에스 등을 상대로 안전수칙 준수 여부와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한 경찰 소식통은 “이번 조사대상은 발주처인 SK가스가 공사에 관여했는지 여부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현재 중대재해처벌법은 주로 시공사인 건설사에게 적용되는 분위기이다. 그런데 이런 사회적 분위기와는 달리 발주처의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라는 안일한 태도도 사고 중요 원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 현장 사고는 시공사 책임도 중요한 건 사실이다. 그렇지만 모든 책임을 시공사에게 떠넘기면서 발주처들이 중대재해 사고 예방에 대해 점차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중대재해법은 실질적으로 지배, 관리, 운영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관한 책임을 묻는 법이다. 그렇기에 건설공사 발주자가 처벌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발주처가 공사현장을 주도했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정부 관계자는 “중대재해법 위반시 처벌 대상은 원칙적으로 경영책임자이다. 그렇기에 건설업 경우 발주와 시공이 구분돼 발주사의 대표이사가 처벌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지만 발주자가 공사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배, 운영, 관리했다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SK가스가 공사에 실질적으로 지배, 관리, 운영했다면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할 가능성이 있다.

이 사건의 결말에 따라 발주처의 안전 관리 책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SK가스는 이번 사건과 관련한 메가경제의 질의에 "(경찰) 조사중인 사안이라 따로 할 말은 없는 것 같다"라고 답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발주처의 안전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야 한다"면서 "노동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발주처의 책임과 역할 강화가 필수적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스타 2025]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5' 개막 D-1…주요 게임사 참여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이야기와 세계를 만드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은 시대, 그 중심에서 ‘지스타 2025’가 새로운 장을 연다. 올해 21회를 맞은 '지스타 2025'는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며,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

2

한글과컴퓨터, 3분기 영업익 123억원…전년比 45.7%↑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2025년 3분기, 인공지능(AI) 중심의 비즈니스 전환 성과가 가시화되며 연결과 별도 기준 모두에서 견조한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한컴은 3분기 보고서를 통해 연결 기준 매출액 840억원, 영업이익 12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1%, 45.7% 급증한 수치다. 별도 기준으로도

3

우리금융, 청소년 미혼 한부모 자립 지원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미래재단이 ‘청소년 미혼 한부모 자립 지원사업’을 20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한다.우리금융미래재단은 성평등가족부, 천주교 서울대교구와 지난 11일 명동 서울대교구청에서 ‘우리 원더패밀리’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우리 원더패밀리’는 2023년 7월 세 기관이 함께 시작한 미성년 미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