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국내 독자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전주기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국내 최초로 우주발사체 개발 전주기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는 사례로,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가 민간 주도 단계로 진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항우연, ‘누리호’ 전주기 기술이전 계약 체결 |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항우연 주도 아래 약 300여 개 민간기업과 협력해 개발한 한국형 우주발사체로, 성공적인 발사로 대한민국을 세계 7번째 자국 기술 위성 발사국으로 만들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누리호 설계, 제작, 발사 운용 등 개발 전주기 기술과 2032년까지 누리호 제작 및 발사 권한(통상실시권)을 확보했다. 기술 문서만 약 1만 6,050건에 달할 정도로 방대한 기술 이전이다. 계약 규모는 240억원이며,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기술평가기관의 평가를 바탕으로 합의됐다.
양사는 앞으로 누리호 연속 발사를 공동 수행하고, 기술 이전과 경험 축적, 교육 및 세미나 등을 통해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는 이를 기반으로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우주수송 서비스-위성체-위성 서비스’로 이어지는 우주사업 밸류체인 확장에 나설 방침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항우연의 축적된 기술력과 노력에 감사드리며, 이번 기술 이전을 통해 누리호의 기술 경쟁력과 비용 효율성을 높여 상업 발사서비스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누리호 기술 이전은 공공이 축적한 성과가 민간으로 확장되는 분수령이며,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초석”이라며 “4차 발사 준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