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 회장, "AI·일본·헬스케어·프라이빗 크레딧"...4대 핵심 성장 동력 강조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0 14:11:38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아시아 최대 사모투자운용사 중 하나인 MBK 파트너스는 최근 제6호 바이아웃 펀드에 대해 약 8조원 규모의 출자 약정을 최종 마감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비상장 독립 운용사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최근 3년간 팬아시아 지역에서 결성된 펀드 중 다섯 번째로 큰 규모다.

 

▲ <사진=MBK 파트너스>

 

이번 펀드에는 북미, 중동, 유럽의 주요 공적 연기금과 국부펀드 등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주요 기존 출자자의 80%가 재출자를 결정했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상승 국면 속에서도 MBK 파트너스의 꾸준한 운용과 투자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김병주 MBK 파트너스 회장은 이번 펀드 결성에 맞춰 향후 투자 시장을 이끌 4대 핵심 성장축으로 ‘AI’, ‘일본 시장’, ‘헬스케어·소비자 중심 섹터’, ‘프라이빗 크레딧 및 하이브리드 금융’ 을 제시했다.

 

김 회장은 “Every business is an AI business.”라는 비전 아래 MBK 파트너스 전사에 AI를 심층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거래 소싱과 밸류에이션, 포트폴리오 관리 등 투자 전 과정에 AI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현재 자체 AI 에이전트를 운영해 월 2만 건 이상의 분석 및 실행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그는 “AI는 앞으로 투자 효율성과 수익률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회장은 일본 시장의 구조적 기회에 주목했다. 그는 “일본은 기업지배구조 개혁을 계기로 효율성 제고와 주주가치 중심 경영이 확산되며 글로벌 PE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며, “밸류에이션, 딜 파이프라인, 실행 환경 모두가 투자 운용사에게 유리한 시장”이라고 평가했다.

 

세 번째 성장축으로는 헬스케어 및 소비자 중심 산업을 꼽았다. 김 회장은 “아시아의 빠른 고령화와 건강관리 수요 증가는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며, 소비자 헬스케어, 시니어케어, 웰니스 산업 중심으로 투자 비중을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회장은 프라이빗 크레딧(Private Credit) 과 하이브리드 금융(Hybrid Capital) 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제시했다. 그는 “고금리와 자금 경색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유연한 자본(Flexible Capital) 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리파이낸싱·리밸런싱·스페셜 시추에이션 등 다양한 자본 구조에서 MBK 파트너스가 새로운 가치 창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희망브리지-KB손해보험,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실' 100호 완공
[메가경제=정호 기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KB손해보험이 소방공무원을 위한 심신안정실 ‘힐링의 기적’ 100호를 완공했다고 20일 밝혔다. ‘힐링의 기적’은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안정과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희망브리지와 KB손해보험이 2016년부터 추진해 온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10년간 이어온 사업은 올해로 전국 곳곳에 누적 100개소의 심신안

2

BYD, 제30차 COP30 공식 참가…친환경차 130대 지원
[메가경제=정호 기자]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11월 10일~ 21일 브라질 벨렘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세계적인 친환경차(NEV) 제조사 BYD가 각국 정상 및 대표단 회의용 셔틀차량으로 130대 규모의 친환경차를 제공해 회의 전 기간 동안 저탄소 이동을 지원하며 아마존 지역의 탈탄소화에 기여했다. 20일 BYD에 따르면 타일러

3

제16회 한국화장실문화축전, 11월 19일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센터에서 개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특수법인 한국화장실협회가 주관하는 ‘제16회 한국화장실문화축전’이 지난 19일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유엔(UN)이 지정한 ‘세계 화장실의 날(World Toilet Day)’을 기념해 깨끗하고 품격 있는 화장실 문화를 조성하고 국민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 매년 열린다. 특히 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