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위, 구로역 충돌사고 조사 결과 발표…작업대 선로 침범 원인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9 10:57:15
  • -
  • +
  • 인쇄
철도공사, 작업통제체계 미흡 등 복합 요인도 확인
전차선로·작업정거장 관리 등 3건 대책 마련 권고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는 지난 2024년 8월9일 새벽 2시16분경 경부선 구로역에서 발생한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의 장비열차 간 충돌사고(작업자 2명 사망, 1명 부상)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사고는 구로역 9번 선로에서 전기설비 점검을 위해 전철 모터카를 투입해 작업하는 중 발생했다.

 

▲사고 개요도 

 

사전에 차단승인을 받지 않은 10번 선로 방향으로 작업대를 2.6m 펼쳐 절연장치(애자) 교체 작업을 하던 중, 서울역으로 회송 중이던 선로 점검차가 약 85km/h 속도로 10번 선로에 진입하면서 충돌했다.


선로 점검차 운전원은 충돌 직전 약 20m 앞에서 10번 선로로 넘어온 작업대를 발견하고 급제동을 시도했으나, 거리와 시간이 부족해 충돌을 피할 수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사조위는 지난해 8월 코레일에 ‘① 선로 작업·점검 시 승인 구간 내에서 작업·점검이 이뤄지도록 엄격 관리, ② 모터카 작업대의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사전에 안전 작업·점검 범위 확보 철저, ③ 모터카 작업·점검 구간의 인접선로 운행 열차·차량에 대한 통제 강화 방안 마련’하도록 3건의 긴급 안전권고를 내린 바 있다.

이후 사조위의 현장조사, 재연시험, 관계인 조사 등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직접적인 사고원인은 ‘작업자들이 탑승한 작업대가 옆 선로의 차량 운행 보호 구간을 침범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10번과 11번 선로(또는 경부 상·하 1선)의 지장 작업 및 열차 운행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운전취급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주요 기여요인 중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지적됐다.


작업계획 수립과 철도운행안전관리 협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고, 임시 운전명령을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아 임시 운행열차 계획이 반영되지 않은 운전시행전달부를 사용하고 있는 점도 기여요인으로 확인됐다.

사조위는 이번 사고를 중대한 인명피해 사고로 보고, 코레일에 대해 전차선로 및 선로 내 작업 안전 강화, 정거장 구간 운전취급 보완, 열차운행 통제 개선 등 총 3건의 안전대책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첫째, 전차선로(선로 포함)에서의 작업 내용 및 구간을 명확히 명시하여 승인된 범위 내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운전명령이나 임시 열차운행 계획을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며, 작업자 안전 협의를 철저히 이행해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정거장 구간(구로역 10·11번 또는 경부 상·하 1선)의 운전취급 및 경계 관리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운전취급 상 통제공간이 불분명한 구간에 대해서는 운전취급 주체를 명확히 하고, 경계표지 등을 설치해 작업 중 운행열차와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셋째, 관계자 간 정보 공유 및 열차운행 통제 절차를 개선해 작업자가 열차 운행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운전취급자와 작업 책임자 간 통신체계 및 보고절차를 개선해 작업·운행 간 충돌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고 현장 사진

 

사조위는 이번 권고사항이 현장에서 신속히 이행되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유사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조사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충실히 이행할 계획이다.

조사보고서 전문은 18일 오전 11시 사조위 누리집에서 공개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알리익스프레스, 블랙프라이데이 최대 70% 할인…연말 쇼핑 특수 공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알리익스프레스가 광군제 흥행 분위기를 이어가며 20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블랙프라이데이’ 대규모 할인 행사에 돌입한다. 신세계·알리바바 합작법인(JV) 출범 이후 처음으로 진행하는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로, 국내 소비자들의 연말 쇼핑 패턴을 분석해 할인 구조를 전면 재정비한 것이 특징이다.회사에 따르면 이번 행사 기간에는 국내·해외

2

DL그룹 글래드 호텔, 매출과 가치 성장 ‘두 토끼’ 잡았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최근 글로벌 관광 수요 증가에 힘입어 국내 호텔 산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관광 업계는 내년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다. 여기에 중국 단체 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 허용,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와 같은 K-콘텐츠 관심 증대 등 각종 호재가 맞물리며 국내 주요 호텔의 실적 및

3

CJ제일제당, 생분해성 PHA 빨대로 지속 가능한 환경 실천 나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제일제당은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빨대 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19일 밝혔다. ‘빨대 없는 스토어 만들기’ 캠페인은 자원순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활동이다. 기후 위기 대응 실천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한다는 목표다. 매장 내 일회용 석유계 플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