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혼란, 증시 변동성↑...증권가 "충격 있지만 일시·제한적"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4 15:33:50
  • -
  • +
  • 인쇄
투자 심리 급격한 변화에 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
"외인 수급 이탈 상황 발생해도 점차 안정 찾을 것"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증권가는 심야 비상계엄 선포·해제가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금융시장의 단기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투자 심리 변화에 따른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지만 그 여파는 일시적이고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는 분위기가 대세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갑자기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원/달러 환율이 치솟고 비트코인 원화마켓 가격이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은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윤 대통령의 계엄 해제 선언 등이 잇따르며 점차 시장은 안정을 되찾았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4일 금융투자업계와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이번 사태를 주시하며 향후 금융시장에 대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도 한국의 계엄령 선포에 주목했다”며 "한국은 중간재 수출이 많아 계엄령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 경기 둔화가 확대될 수 있고 반도체 칩, 중장비 등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글로벌 경기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나정환·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상 계엄령 선포 이슈가 빠르게 해소돼 한국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다"며 주가 하락 시 매수 대응도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이탈하며 주가가 급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나, 해당 이슈가 빨리 해소된 만큼 주가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며 "이번 이슈는 한국 주식 시장의 펀더멘털 변화 요인이 아닌 만큼 매수 대응이 유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하지만 비상계엄이 선포 직후 해제됐고 이 과정에서 환율, 야간 선물시장 등 낙폭이 축소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 충격 강도는 제한적일 전망"이라며 국내 증시와 외환시장은 극심한 저평가 영역에 있었던 만큼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봤다.

 

하나증권 리서치센터는 "계엄령은 해제됐으나 법리 논란 등 후폭풍이 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주식, 펀드 등의 고객들의 자금 이탈 우려가 상존하며 주식시장은 불확실성에 따른 단기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외인들도 변동성 확대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투자금 일부 회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