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트레이더스, “기저귀도 구독하세요”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5-23 15:42:31
  • -
  • +
  • 인쇄
‘기저귀 구독권’판매로 영유아 가정 공략
운영 구독권 시즌별로 바꿔 다양한 혜택 제공

이제는 기저귀도 구독하는 시대다, 트레이더스가 구독서비스를 확대하며 영유아 자녀를 둔 젊은 고객을 공략한다.

이마트 트레이더스가 매일 사용하는 기저귀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기저귀 구독권'을 1만 장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고 23일 밝혔다.
 

▲ 이마트 트레이더스의 기저귀 구독권 [이마트 트레이더스 제공]

 

기저귀 구독권은 트레이더스에서 판매하는 하기스 기저귀 전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삼성카드로 하기스 기저귀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1만 원 할인권 4장으로 구성됐다.

가격은 삼성카드 결제 시 1만 5000원, 그 외 결제 수단으로 구매 시 3만 원이다.

구독권은 다음달 14일까지 트레이더스 전 지점 내 고객센터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각 할인권마다 기재된 사용 기간에 맞춰 오는 7월 26일까지 차례대로 사용하면 된다.

고객이 기저귀 구독권을 삼성카드로 1만 5000원에 구매할 시 받을 수 있는 실제 할인 혜택은 최대 2만 5000원이다.

대표 상품인 ‘하기스 매직팬티 컴포트 5단계(88매, 3만7980원)’를 구매하는 고객이 할인권 4장을 사용 기간에 맞춰 모두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정상가 15만 1920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12만 6920원에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트레이더스가 기저귀 구독권을 선보인 이유는 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정의 대표 생필품인 기저귀에 대한 가격 혜택을 통해 젊은 부부 고객의 유입을 늘리기 위해서다.

트레이더스는 영유아를 키우는 고객의 경우 창고형 할인점의 대단량 상품에 대한 수요가 청소년이나 성인 자녀가 있는 가정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매일 사용하는 만큼 가격 부담이 큰 기저귀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구독권을 판매해 젊은 부부 고객이 트레이더스에 주기적으로 재방문할 수 있도록 했다.

김인철 트레이더스 생활용품매입팀 바이어는 "트레이더스는 지난해부터 다양한 구독권을 판매하고 있지만 기저귀 구독권은 매우 이색적인 상품"이라며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서 혜택을 경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레이더스는 구독권 상품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히며 트레이더스 고객만이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달에는 커피, 피자, 기저귀 구독권을, 휴가철인 오는 7월에는 고기 구독권을 판매하는 등 시즌과 고객 반응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창립 80주년 아모레퍼시픽 그룹, “뉴뷰티로 글로벌 15조 시대 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모레퍼시픽 그룹이 창립 80주년을 계기로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지난 4일 용산구 본사에서 개최된 창립기념식에서 아모레퍼시픽 그룹은 2035년까지 매출 15조 원을 달성하고, 글로벌 뷰티&웰니스(Beauty & Wellness)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중장기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은 ‘크리에이트

2

이랜드몰, 애니바디와 '파자마' 기획전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이랜드몰(ELANDMALL)'이 오는 14일까지 애니바디(ANYBODY)와 파자마 큐레이션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공용 면모달 9부 파자마 세트 △공용 스트라이프 면 파자마 세트 2종을 만나볼 수 있다. ‘공용 면모달 9부 파자마 세트’는 면과 모달 혼방 원단으로 제작돼 부드러운 촉감을

3

보람상조-명지대 미래교육원, 장례산업경영학 전문 과정 신설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국내 대표 상조기업 보람상조는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과 손잡고 상조산업의 고도화와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협력에 나섰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학점은행제를 기반으로 한 ‘장례산업경영학 전공’ 과정을 개설했다.‘장례산업경영학 전공’은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보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