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적립금 40조원...수익률 차원 '적극 투자' 독려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8 16:55:53
  • -
  • +
  • 인쇄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지정 가입자수가 630만명을 넘어섰다. 적립금 역시 40조원을 돌파했다. 가입자 및 수익률 논란으로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의 논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당국은 디폴트옵션의 상품 명칭을 변경하는 등 합리적 투자를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지정 가입자수가 630만명을 넘어섰다. 적립금 역시 4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 Pixabay]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이 18일 공시한 '디폴트옵션 수익률 등 현황 공시'에 따르면 디폴트옵션 가입자수는 지난해 말 기준 631만명으로, 전년(479만명)에 비해 32% 증가했다.

 

적립금도 2023년 말 12조5520억원에서 지난해 말 40조670억원으로 219% 늘었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별도로 운용 방법을 고르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사전에 지정된 포트폴리오로 운용되도록 한 제도다. 2022년 7월부터 1년 동안 시범운영기간을 거쳐 2023년 7월 본격 도입됐다.

 

지난해 말 기준 41개 금융기관의 315개 상품이 정부 승인을 받았다.

 

이들 상품은 불안정한 경제 상황에서 안정적 수익률을 보였다. 1년 수익률은 초저위험상품 3.3%, 저위험상품 7.2%, 중위험상품 11.8%, 고위험상품 16.8%였다.

 

디폴트옵션을 선택한 투자자들 대부분은 초저위험상품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초저위험상품 적립금은 35조3386억원으로 전체 적립금의 88%였다. 다만 해당 상품의 수익률은 2023년 물가 상승률인 3.6%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왔다.

 

이에 당국은 올해 공시부터 개별 금융기관의 위험등급별 적립금(판매) 비중을 추가로 공개한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원리금보장상품의 편중 정도를 알려 가입자에게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한다는 취지다.

여기에 오는 4월부터 모든 디폴트옵션의 상품 명칭을 변경한다. 초저위험은 '안정형'으로, 저위험은 '안정투자형'으로, 중위험은 '중립투자형'으로, 고위험은 '적극투자형'으로 바뀔 예정이다.

 

현행 디폴트옵션 상품 명칭이 '위험'을 강조하고 있어 합리적 투자를 저해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투자' 중심으로 명칭을 변경, 가입자들이 자신의 성향에 맞는 디폴트옵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비상교육,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비상교육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경영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으로 국가 디자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된다.비상교육은 2018년 교과서 발행

2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8챕터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에서 8챕터 ‘바나하임 남부’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신규 전장 공개와 함께 캐릭터 성장의 재미를 강화하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먼저, 신족의 수중 도시를 무대로 한 8챕터 ‘바나하임 남부’가 추가돼 색다른 전

3

지성원 현대차 전무, 디자인대상 '대통령상 표창' 수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 지성원 전무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대자동차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식에서 브랜드마케팅본부장 지성원 전무가 디자인공로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