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구 증가율 최고는 과천, 전셋값은 하남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09-14 17:06:56
  • -
  • +
  • 인쇄
직방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조사 결과 발표
3기신도시 예정지 하남, 고양 전셋값 상승률 높아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경기도에서 지난해 말보다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과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하남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직방이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과천 인구는 작년 말 5만8289명에서 지난달 6만1902명으로 6.2% 증가했다.

그 뒤를 김포·하남(4.9%), 화성(3.4%), 시흥(3.3%), 양주(3.0%), 평택(2.8%), 광주(1.8%), 이천(1.7%), 용인(1.5%), 남양주(1.1%), 고양(0.9%) 등이 이었다.

 

▲ 경기도내 작년말 대비 지난달 전셋지수 변동률 [그래픽= 직방 제공]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과천은 서울 강남권과 인접하고 있어 꾸준하게 관심을 받는 곳”이라며 “과천지식정보타운 S1블록, S4블록, S5블록 등 아직 분양 예정 일자가 나오지 않은 과천지구 청약을 공략하기 위한 이주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작년 12월 16일 청약 규제 중 지역 거주 요건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강화했다.

3기 신도시가 들어서게 되는 인천과 부천은 주민등록 인구수가 작년 말보다 각각 0.5%, 0.9% 줄어 청약을 위한 외부 지역에서의 인구 유입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직방이 한국감정원 월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에서 작년 말보다 전셋값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하남(13.3%)이었다.

이어 용인(11.1%), 수원(9.4%), 구리(8.2%), 화성(7.2%), 평택(6.5%), 오산(5.6%), 고양(5.2%), 안양(5.1%), 의왕(4.8%), 남양주(4.1%), 인천(4.0%), 부천(2.0%) 등의 순서였다.

3기 신도시가 있는 하남과 고양의 전셋값 상승률은 같은 기간 경기 평균 전셋값 상승률(4.9%)보다 높았지만, 인천과 부천은 경기 평균보다 낮았다.

특히 과천 아파트는 작년 말 대비 지난달 전셋값이 7.9%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과천시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과천주공1단지 재건축)과 갈현동 ‘과천센트레빌’(과천주공12단지 재건축)이 올해 4월 입주하면서 주변 단지의 전세 약세를 이끌었다.

또 부림동 ‘과천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과천주공7-1 재건축)과 원문동 ‘과천위버필드’(과천주공2단지 재건축)가 각각 올해 12월과 내년 1월 입주 예정이라 전셋값이 하락 조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