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남아공·인도·브라질 주요 4종 변이바이러스 감염자 247명 추가 확인...누적 1113명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7:11:32
  • -
  • +
  • 인쇄
247명 중 영국 199명·인도 29명, 남아공 18명, 브라질 1명
변이 감염자와 역학적 연관된 사례 1457명 합치면 총 2570명
미국 캘리포니아·뉴욕 유래 변이 등 '기타 변이'도 총 581명 확인

최근 1주일간 200건이 넘는 변이바이러스 사례가 추가로 확인되고 검출률도 30%에 근접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확산세가 가파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8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유전자분석 결과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브라질, 인도 등 주요 4종 변이바이러스가 247명 새롭게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 10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18일 0시 기준으로 총 1113명에 이른다. 이 누적치는 국내발생 8377명, 해외유입 1600명 등 총 9977명을 분석 완료해 얻은 수치다.
 

▲ 인도 첸나이국제공항을 출발해 4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인도 교민들이 1터미널 입국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새롭게 확인된 247명을 유형별로 보면 영국 변이가 199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도 변이 29명, 남아공 변이 18명, 브라질 변이 1명이다. 국적별로는 내국인이 207명, 외국인이 40명이다.

이중 국내감염(195명)은 영국 변이 179명, 남아공 변이 15명, 인도 변이 1명이고, 해외유입(55명)은 인도 변이 28명, 영국 변이 20명, 남아공 변이 3명, 브라질 변이 1명이다.

신규 247명에 대한 인지경로를 살펴보면, 해외유입 52명(내국인 29명, 외국인 23명)은 검역단계에서 24명, 자가격리 단계에서 27명, 격리면제자 입국 후 검사에서 1명이 확인됐다.

이중 국내발생 195명(내국인 178명, 외국인 17명)은 집단사례 관련 112명(신규 66명, 기존 46명), 개별사례 83명에서 각각 나왔다.

최근 1주일(5월 9~15일)간 유전자 분석을 통해 변이바이러스가 확인된 검출률은 26.8%(921명중 247명)에 달했다. 국내감염은 22.5%(866명 중 195명), 해외유입은 94.5%(55명 중 52명)이었다.

바이러스 유형별 누적 현황은 영국 변이바이러스가 90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111명, 인도 변이 87명, 브라질 변이 11명 순이었다.


영국 변이는 울산, 경남 사천, 경기 성남·광주 등의 지역과 호남권(광주, 남원·완주), 충청권(청주), 경북권(경주, 상주)에서 확인됐고, 남아공 변이는 부천시 요양시설 집단감염과 산발적인 사례에서, 인도 변이는 인천공항검역소 임시격리시설에서 각각 나왔다.

현재까지 확인된 주요 변이 확정사례 1113명 이외에 역학적으로 연관된 사례는 1457명으로 이를 합치면 총 2570명의 국내 주요 변이바이러스 사례가 확인됐다고 방대본은 설명했다.

영국·남아공·인도·브라질 등 주요 4개국 변이 이외의 ‘기타 변이바이러스’도 총 581명이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캘리포니아 유래 변이 552명을 비롯해 뉴욕 14명, 영국·나이지리아 9명, 필리핀 6명이 나왔다.

방대본은 “변이바이러스의 집단감염 사례 증가와 발생지역 확대, 인도 교민 입국자 증가에 따른 인도 변이 사례 증가(29명 증가) 등 변이바이러스의 확산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지속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인도·남아공 변이 위험국가 입국자 시설격리, 격리 면제자 입국 후 관리(5~7일 PCR 검사 등), 자가격리자 이탈·접촉 금지 등 변이바이러스의 해외유입 차단에 진력하기로 했다.

또, 변이바이러스 유행지역에 ‘중앙-지자체 간 합동대응팀’을 구성하고, 변이바이러스 분석과 접촉자 범위 확대 등 집중관리를 통해 지역확산을 차단하는 등 방역관리 강화를 지속할 방침이다.

특히, 방대본은 인도 내 환자 증가세 지속, 국내 유입 증가에 따라, 인도발(發) 해외입국자에 대한 검사 및 격리를 강화해 대응하고 있다면서, 국내 입국한 인도 재외국민의 코로나19 검사 결과 및 격리현황을 설명했다.

이달 4일부터 총 6차에 걸쳐서 인도 재외국민 총 1039명이 입국했으며, 17일 0시 기준으로 검역단계에서 15명, 시설 내 격리단계에서 23명 등 총 38명(3.2%)이 확진됐다.

이 중 임시생활시설 격리 7일이 경과한 2차, 3차 입국자의 경우, 시설 퇴소 전(6일차) 진단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된 332명(2차 169명, 3차 153명)은 자가격리로 전환됐다. 이들에 대해서는 격리해제 전(13일차)에 한번 더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입국한 인도 재외국민은 현재 7개 임시생활시설에서 격리 중이며, 1차 입국자와 동일하게 검사 등 방역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까지 재외국민에 대한 변이바이러스 검사 결과, 4명(1차 1명, 2차 2명, 3차 1명)의 인도 변이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됐다.

방대본은 “정부는 인도 변이바이러스의 경우 최근 영국 등 해외 각국에서 확산, 세계보건기구(WHO)의 주요 변이 분류 등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어, 국내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 인도발 입국자에 대한 강화된 방역 관리를 앞으로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