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철강·제약, 제조업 '관세 충격'에 경기 위축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8 17:26:34
  • -
  • +
  • 인쇄
4분기 BSI 74…17분기 연속 기준치 밑돌아
자동차·철강·제약 직격탄, 화장품·제약 급락세

[메가경제=정호 기자] 자동차·철강·제약 등 국내 제조업이 대미 관세 여파로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제조업체 2275곳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4분기 전망치는 74로 집계됐다. 지난 3분기보다 7포인트,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11포인트 하락하며 다시 내림세로 전환됐다.

 

▲ <사진=연합뉴스>

 

BSI는 100 이상이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국내 BSI는 2021년 4분기(91) 이후 17분기 연속 100 이하를 기록 중이다.

 

특히 자동차·철강·제약 등 수출 업종은 관세 부과 및 예고 영향으로 전망치가 -13을 기록해 내수 기업(-5)보다 낙폭이 컸다. 자동차 업종은 9월부터 일본·EU보다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며 전망치가 전 분기보다 16포인트 떨어진 60으로 집계됐다. 건설경기 부진 장기화로 비금속광물(56), 철강(63), 석유화학(63) 업종 전망도 저조했다. 철강은 50% 수준의 관세 부담, 석유화학은 중동발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이 가중됐다.

 

수출 상승세가 꺾인 화장품 업종 전망치는 69로, 미국 소액 면세 혜택 폐지 여파로 무려 -44포인트 폭락했다. 2분기까지 각각 113, 109로 기준치를 웃돌았던 제약·바이오 업종도 이번 분기 87로 추락했다. 이는 미국의 수입 의약품 고율 관세 예고가 반영된 결과다.

 

반면 반도체와 식품 업종은 모두 98로 기준치(100)에 근접했다. 반도체는 인공지능(AI) 수요 확대, 식품은 명절 특수와 K-푸드 수출 호조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역별 BSI도 전 지역에서 기준치를 밑돌았다. 자동차 부품·섬유 비중이 높은 대구(60), 철강·전자 산업 비중이 큰 경북(68), 금속·기계 업종 비중이 큰 부산(66) 등이 특히 낮았다. 3대 석유화학단지가 자리한 전남(60), 충남(71), 울산(74)도 주력 제품 수요 둔화와 글로벌 공급 과잉 탓에 전 분기보다 지수가 하락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하지 않도록 정부는 긴급 유동성 공급, 규제 완화, 투자 인센티브 강화 등 지원책을 확대해 대외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방파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앞장
[메가경제=정호 기자] 풀무원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에서 동물복지 계란과 펫푸드 브랜드 ‘아미오’ 등 2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동물복지 가치 확산 활동에 앞장섰다고 28일 밝혔다. 동물보호의 날 축제는 10월 4일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마련된 사람과 동물의 공존 문화를 확산하는 국민 참여 캠페인이다. 제1회

2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신규·기존 고객에 모두 '만족' 평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르노코리아는 지난 주말까지 하남 스타필드에서 진행했던 ‘르노 팝업 스테이지’ 행사에서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 체험 고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을 맞은 그랑 콜레오스는 기존 구매 고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있다. 28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9월 17일부터 2

3

현대리바트, 캐릭터 피규어 토대로 'MZ 공략' 박차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리바트가 2030 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젊은 세대 코드에 맞춰 수제 공예품을 소개하는 전문관을 열고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엔 캐릭터를 활용한 피규어를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토탈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리바트 캐릭터’로 만든 피규어 6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