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난해 주요 경영진 상여금 평균 66% 늘어...최정우 회장 3억 ↑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07 17:30:57
  • -
  • +
  • 인쇄
보수총액 5억 이상 이사·감사 5명 보수총액 31% 늘어
전년比 상여↑... 3년치 장기인센티브 일시지급 영향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 5명의 지난해 상여금이 전년 대비 6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보수지급금액 5억 원 이상 이사·감사는 최정우 회장, 장인화 사장, 전중선 부사장, 김학동 부사장, 정탁 부사장 등 5명이며, 이들에게 지급된 보수총액은 전년 대비 31% 늘어난 65억 원에 달한다.

 

 

▲ 최정우 포스코 회장 [서울=연합뉴스]


이번에 공개된 개인별 보수총액은 급여, 상여, 기타 등 항목으로 분류된다. 상여 항목은 크게 이사보수기준에 따라 회계연도 경영성과 평가결과에 따른 단기경영성과금(성과연봉)과 3년 단위 장기경영성과 평가결과에 따른 장기경영성과금(장기인센티브), 활동수당 등으로 나뉜다.

특히, 지난해에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치에 해당하는 장기인센티브가 일시지급돼 전년보다 상여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지난해 급여 9억 100만 원에 상여 10억 1900만, 건강검진비, 상해질병보험료 등 기타 근로소득으로 700만 원을 받아 총 19억 2700만 원의 보수를 챙겼다.

상여는 지난 2019년 7억 900만 원에서 3억 1000만 원이 늘어 전년 대비 43.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인화 포스코 사장은 지난해 급여 6억 100만 원에 상여 8억 6200만, 건강검진비, 상해질병보험료 등 기타 근로소득 600만 원 등 총 14억 69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상여는 전년보다 3억 2700만 원이 늘어 61.1% 증가했다.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자료=포스코 감사보고서]

이밖에도 전중선 부사장(42.2%), 김학동 부사장(144.4%), 정탁 부사장(132.7%) 등 경영진도 전년 대비 상여 증가 폭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상여에서 성과연봉은 영업이익, 주당순이익(EPS), 영업현금흐름, 매출액 등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글로벌 경쟁 격화에 대비한 철강 리더십 확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사업 육성, 미래 신사업 본격 육성 등으로 구성된 정성평가를 기초로 책정된다.


또한 장기인센티브는 주가, ROA, 차입금 대비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Debt/EBITDA) 등 정량평가 항목과 투자, 기술, 사람 등 분야에서 장기경쟁력을 향상한 노력에 대한 정성평가 항목을 각각 3년 동안 평가해 책정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bhc, 한강 라인 매장 전년 동기 대비 32% 매출 성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bhc가 올해 1~8월 한강변 매장 총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주요 한강변 인근 11개 매장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했다. 성장세는 특히 야외 활동이 활발해지는 봄철에 두드러졌는데, 4월과 5월 한강을 찾는 인파가 늘어나 매출이 증가해 실적을 견

2

상아제약,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상아제약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시상식에서 건강기능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상아제약은 오랜 제약 노하우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연이어 선보이며 업계를 선도해 왔다. 세계 최초 리포좀 공법을 적용한 '프리

3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 성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이사장 최철규, 이하 재단)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영월문화예술회관과 정선아리랑센터에서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공연은 폐광지역 아동·가족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