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센 백신 접종사전예약 첫날 18시간만에 초스피드 마감..."100명 중 90만명"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6-01 19:18:46
  • -
  • +
  • 인쇄
80만명 1차 마감후 2차 추가 10만명도 1시간 반만에 종료
2분기 대상자중 30세 미만, 7일부터 예약·15~26일 화이자 접종
모더나 백신 첫 물량 5만5천회분 도착...GC녹십자 오창공장 이동

존슨앤존슨 사(社)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얀센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되자마자 당일인 1일 오후 곧바로 마감됐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오후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공지를 통해 “얀센 백신 사전예약은 금일 오후 6시4분 최종 종료됐다”며 “사전예약 인원은 약 90만명”이라고 알렸다.

이어 “얀센 백신 선착순 사전예약에 참여하지 않은 분들도 다음번 일반국민 접종순서에 따라 예방접종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 얀센 백신 사전예약 90만명분이 첫날인 1일 오후 6시4분에 18시간만에 마감됐다. [출처=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캡처]


얀센 백신 사전 예약은 이날 0시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을 통해 진행됐다. 그런데 18시간 4분만에 초스피드로 마감된 것이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얀센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오늘 오후 3시 30분께 선착순 마감됐다"며 "현재 예약 인원은 80만명"이라고 밝혔다.

이같이 예약시작 15시간 30분만에 1차 마감됐다고 발표했던 질병청은 이후 예약된 인원과 실제 배송될 의료기관별 백신 물량을 계산한 결과 10만명분을 더 예약받을 수 있다고 보고 이날 오후 4시 30분부터 추가 예약을 접수했다.

10만명을 대상으로 한 2차 예약은 약 1시간 34분 만에 종료된 셈이다.

얀센 백신은 1바이알(병)당 접종인원이 5명인 다인용 백신이다. 하지만 접종기관에서는 예약자 2명만 확보하면 1병을 개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7명 예약 시 8바이얼분의 40명분을 배송해야 한다.

결국 예약인원보다 더 많은 물량을 의료기관에 배송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질병청은 미국이 제공하는 물량인 101만2800명분에서 11만2800명분을 남기고 예약을 마감하게 된 것이다. 

 

이번 접종 사전예약 대상자는 30세 이상 60세 미만 예비군과 민방위 대원, 국방·외교 관련자 등 약 370만명이다. 국방 관련자에는 군과 군무원 가족이나 군 시설을 상시 출입하는 민간인도 포함된다.

질병청은 60세 이상 국방·외교 관련자 등이 대상자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해선 "60세 이상 연령대는 당초 계획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대상자이므로 이번 얀센 접종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설명했다.

 

▲ 얀센 백신 사전 예약 당일 마감 현황. [그래픽=연합뉴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대상에서 제외된 30세 미만(92년 1월 1일 이후 출생) 2분기 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회필수인력 등 2분기 접종대상자 중 30세 미만에 대해서는 6월 7일부터 예방접종센터 사전예약을 시작하며, 6월 15일부터 26일까지 화이자 백신으로 1차 접종을 실시할 계획이다.

다만, 2분기 접종 대상인 사회필수인력 중 30세 미만 군 장병에 대해서는 군이 자체 접종계획을 수립하여 군 의료기관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6월 7일부터 접종을 실시한다.

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하루 41만3천명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했으며, 이 중 1차 접종은 38만 6천명으로 1일 0시 기준으로 전 국민의 11.3%인 총 579만 2천명이 코로나19 1차 예방접종을 끝냈다.

65세 이상 어르신 접종을 시작한 5월 27일부터 31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하루 평균 53만 명의 1차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60세 이상 어르신 등 대상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예약률은 70%를 넘어 72.3%를 기록하고 있다.

백신 수급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 1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으로 모더나 백신 첫 물량인 5만5천회분(2만7500명분)이 들어오고 있다. [공항사진기자단=연합뉴스]

추진단에 따르면, 모더나 백신 초도물량 5만5천 회분이 1일 오후 3시45분에 항공기편으로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이로써 총 4천만 회분의 모더나 백신 공급 도입이 시작됐다.

아스트라제네카(AZ), 화이자, 얀센 백신에 이어 국내에서 네 번째로 허가받은 코로나19 백신이며, 국내 반입 순서로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에 이어 세 번째다.

모더나 백신은 통관·적재 절차를 거친 뒤 철통 경호 속에 유통을 담당하는 GC녹십자 오창공장(충북 청주시)로 옮겨질 예정이다.

개별 계약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7만9천 회분도 이날 낮 12시 안동공장에서 출고되어 총 708만3천 회분이 공급됐다.

개별 계약한 화이자 백신은 65만 회분이 2일 오후 1시35분 항공편으로 인천공항에 도착함으로써, 총 440만 회분이 공급되며 계획대로 예방접종이 진행될 예정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